올해 어린이집·유치원 관련 집단 감염 36건...누적 635명
올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관련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635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0일 “올해 1월 이후 어린이집·유치원 관련 집단 발생 사례는 36건으로, 총 635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관련 확진자 중 어린이집·유치원 시설 내 전파 확진자 비율은 45.5%(289명), 시설 외 추가 전파 비율은 54.5%(346명)이었다.주요 전파 경로는 가정 또는 학원, 교회, 다중이용시설 등을 통해 감염된 교직원과 원아가 원내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추가적인 교직원과 원아 간 전파를 통해 이들의 가족과 지인을 거쳐 다른 가정, 학원, 직장 등으로 전파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27건(75%)은 교직원이 원내 근원환자였고, 9건은 원아가 근원환자였다.주요 위험요인으로 △유증상자의 지속 출근 및 등원 △밀접접촉 활동(식사 및 놀이활동 보조 등)이 많은 특성 △마스크 착용 미흡 △환기 불충분이었다. 이상원 단장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의 시설책임자께서는 의심증상이 있는 종사자나 원아의 근무나 등원은 제한해 주시고, 먼저 신속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며 "시설 내 활동 중인 활동 중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 위생 등 방역수칙준수를 지속적으로 안내해달라"고 당부했다.이어 "보호자께서도 자녀가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절대 등원시키지 마시고 먼저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1-03-30 18:01:30
5세 우리 아이, 어린이집 vs 유치원?
5살 아이를 키우는 A씨는 유치원 입학 시즌이 다가오면서 걱정이 늘었다. 동네에서 꽤 평이 좋은 유치원에 겨우 당첨됐지만, 아이를 돌봐주던 교사가 “아이가 아직 자조 능력이 떨어지니 유치원보다는 어린이집에 가는 것이 어떻느냐”고 의견을 제시한 것. 마침 대기하고 있던 어린이집에서 티오가 났다는 연락이 와 고민은 한층 더 깊어졌다. 또래보다 발달이 6개월 정도 늦은 5살 남아를 키운다는 B씨 역시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 아이의 대소근육 발달이 또래보다 느리고, 말은 잘하지만 종종 문맥에 맞지 않는 말을 하거나 멍 때리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B씨는 “일반 유치원 지원에 합격해 이번 3월 입학을 기다리고 있지만 마음도 여리고 예민한 아이가 잘 적응할지 불안하다”고 했다. 이어 “아이가 어린이집을 적응하는데도 반년이 걸렸는데, 이번에 보낼 유치원에는 선생님 한명에 아이가 20명이라고 들었다”며 ‘5세에 유치원 보낸 학부모님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는 글을 모 인터넷 카페에 게재했다. 유치원이 입학이 가능해지는 5세부터는 아이의 성향과 발달 정도에 따라 적응 여부가 갈리기 때문에 부모들은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이의 입학 가능한 ‘연령’인데, 어린이집은 0세부터 7세까지, 유치원은 5세에서 7세까지 다닐 수 있다. 보통 엄마들 사이에서는 어린이집은 ‘보육’ 중심으로, 유치원은 ‘교육’ 중심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또한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소속으로 보육교사 자격증을, 유치원은 교육부 소속으로 유
2019-02-15 14:5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