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들 "엑스레이 사용할 것...의료인의 당연한 권리" 공식 선언
한의사들이 엑스레이(X-ray)를 사용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25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한의사의 엑스레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법원 판결이 나옴에 따라, 엑스레이 기기를 진료에 적극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정유옹 한의협 수석부회장은 "과학의 산물을 활용해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의료인으로서 너무나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라고 강조했다.앞서 지난달 17일 수원지방법원은 엑스레이 방식의 골밀도 측정기를 환자 진료에 사용했다는 이유로 의료법 위반에 해당된다며 약식명령(벌금 2000만원)을 받은 한의사의 항소심에서 1심과 마찬가지로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이 상고를 포기하면서 한의사는 무죄 확정을 받았다.한의협에 따르면 당시 법원은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기준' 규정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자를 한정하는 것이라고 단정하기 어렵고, 한의원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그 밖의 기관'에서 제외된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한의협은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추나요법은 엑스레이 영상진단이 필수적이지만, 진단 과정에서 엑스레이 검사를 위해 양방의원을 추가로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해왔다"며 한의사가 엑스레이를 사용하면 환자의 진료 선택권과 편의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대만의 경우 2018년부터 중의사가 엑스레이 등 현재 의료기기를 진료에 자유롭게 활용하고 있고, 건강보험을 적용해 국민에게 의료비용 혜택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한의사들은 또 정부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안
2025-02-26 13:18:04
기침해 엑스레이 찍었더니 몸에서 나온 것...'경악'
기침과 복통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몸속에서 수백마리의 기생충이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브라질 보투카투에 있는 병원 의사인 비토르 보린 드 수자(Vitor Borin de Souza) 박사는 최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기침과 복통으로 자신의 병원을 찾은 환자의 엑스레이 사진을 공개했다. 그러면서 "원인은 기생충이었다"고 밝혔다. 엑스레이를 보면 복부에 수백마리의 기생충이 가득 있는 모습이다. 또 근육 곳곳에도 하얀색 점이 찍혀있는데, 이는 석회화된 기생충의 사체라는 설명이다. '유구낭미충증'이라 불리는 이 증상은 유구조충의 유충인 유구낭미충에 의한 인체감염증을 말한다. 주로 인간의 장에 사는 유충이 근육이나 뇌 등으로 침투할 때 나타난다. 근육과 뇌에 침투한 유충은 피부 아래에서 낭종과 같은 결절을 만들어 내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무해하다. 다만 남아있는 낭종이 뇌나 눈에서 발생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수자 박사는 "머리와 척수, 눈에 상처 등의 문제가 없었다면 치료할 필요도 없다"고 조언했다. 엑스레이의 주인공은 뇌의 낭종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MRI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3-05-11 11:28:35
유방 엑스선 촬영 시 환자 피폭선량 최소화 기술 개발
유방 엑스선 촬영 시 환자의 피폭선량을 알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부가 개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환자 피폭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질병관리청이 '21년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질병의 진단에 이용하는 유방엑스선 촬영 시 환자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선량평가 프로그램(ALARA-M)을 개발했다고 13일 공식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주요 촬영법에 대한 검사 면적을 선택할 수 있고, 유방 엑스선 촬영의 검사조건을 입력하여 피폭선량을 평가할 수 있다.또한 선량평가 결과를 엑셀 및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과 유방 엑스선 촬영 진단참고수준을 제공하는 등 사용자의 활용성과 편의성을 높였다.진단참고수준이란 환자의 피폭선량을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추기 위해 영상의학 검사 시 받는 환자 피폭선량 분포의 75% 수준을 권고하는 값이다. 백경란 질병관리청 청장은 "선량평가 프로그램은 단순히 장치에서 발생되는 선량이 아닌 실제 환자가 받는 피폭 영향을 반영한 유효선량을 제공하기 때문에 환자 피폭선량 관리 및 의료기관 이외에 연구기관 등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국민 의료방사선 안전관리기반 마련을 목표로 전문가 의견수렴 및 관계기관 협조를 통해 국민들이 이용하는 일반 엑스선 촬영, CT(컴퓨터단층촬영), 치과촬영 등 모든 의료방사선에 대한 피폭선량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9년 한 해 동안 국민이 엑스레이 촬영 등 의료방사선 검사를 받은 횟수가 2016년에 비해 약 20% 증가한 했으며, 이로 인한 연간 피폭선량도 동기 대비 25% 정도 늘어났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해 발표되기도 했다. 김경림
2022-06-13 10:5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