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 "영유아 안전 카시트 대여해드립니다"
서울 광진구는 구내 거주하는 영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용 카시트 무료 대여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 2018년 9월 영유아의 안전한 교통 환경 조성을 위해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만 6세 미만 영유아 카시트 장착이 의무화됐다. 교통사고 시 몸집이 작은 아이들의 경우 몸이 튕겨져 나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이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카시트는 필수다. 구는 "광진구에 거주하는 만 6세 미만 영유아 가정은 1가구당 1회 카시트 신청이 가능하며, 대여 시 오는 11월 30일까지 이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신청은 선착순으로 받고 있다. 요금은 무료이지만 보증금 3만원을 내야하고, 카시트를 반납 시 보증금은 돌려받을 수 있다.대여 장소는 광진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장난감 도서관이다. 대여자 선정 시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3인이상 다자녀 가정을 우선순위로 한다. 또 기부를 원하는 구민들은 가정에서 사용한 카시트를 구에 기증할 수 있으며, 기증받은 카시트는 안전 점검 및 세척 후 카시트를 필요로 하는 다른 구민에게 대여된다. 신청은 광진구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다. 방문 접수도 가능하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0-02-05 17:48:33
'가구' 관련 안전사고 급증…'6세 미만 영유아 주의 필요'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 이 2018년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가구'관련 사고신고가 급증했으며 특히 6세 미만 영유아 안전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소비자원은 1일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안전사고는 2016년 6만9018건에서 2017년에는 7만1000건으로 2.9% 늘었으며 지난해에도 7만2013건으로 1.4%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중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와 가구 설비'로 전체의 17.3%(1만2438건)를 차지했다. 특히 충돌과 추락 등 가구로 인한 상해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라돈 검출 매트리스와 유해물질 검출 놀이 매트 관련 언론보도 등으로 위해정보 접수가 급증했다.매트리스는 2187건으로 1년 전보다 2840.3% 늘어났고, 놀이 매트도 866건으로 921.3% 증가했다.한편 위해가 발생한 장소는 ‘주택’이 53.0%(38,141건), 위험‧위해 원인은 미끄러지거나 부딪히는 등 ‘물리적 충격’이 42.5%(30,561건)으로 가장 많았다.사고 피해자의 나이 확인이 가능한 6만3834건을 분석한 결과 만 14살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 건수가 37.7%(2만4097건)를 차지했다. 이중 6살 미만 영유아의 안전사고 건수가 1만9250건으로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의 79.9%를 차지했다.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뇌진탕(774건)'과 '골절(749건)' 사고의 경우 각각 86.3%와 65.1%가 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연령대별 위해 다발 품목으로 만 10세 미만은 `침대(1,864건)'가 가장 많았다. 10대는 `어린이 자전거(192건)', 20대는 `반려견(338건)', 30대는 `놀이매트 (709건)'로 인한 위해가 다발했
2019-04-02 10:0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