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엔 별 대신 '이것' 가득할 것"...천문학자 시나리오는?
세계 각국에서 인공위성 발사에 박차를 가하는 탓에 몇년 뒤면 밤하늘에 뜬 별을 관측하기 힘들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텔레그래프는 현재 지구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이 8천여 개로, 2019년과 비교해 4배로 증가했다며 "이 숫자는 향후 수십년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일론 머스크의 우주 탐사 기업 스페이스X가 인터넷망 구축을 위한 군집위성 4만4천개를 쏘아올릴 계획인 것을 비롯, 전세계적으로 약 40만개의 저궤도(LEO) 위성이 승인된 상태다.각종 금속물질로 매끈하게 뒤덮인 인공위성은 햇빛을 지구로 반사시키는데, 이는 광학 망원경을 통한 천문학자들의 천체 관측에 방해가 된다.인터넷 신호를 쏘는 위성의 경우 전파 망원경 작동에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텔레그래프는 지적했다.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UC 데이비스)의 토니 타이슨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2030년 어두운 곳에 가서 하늘을 올려다보면 매우 섬뜩한 광경이 펼쳐질 것"이라고 예상했다.그는 "움직이는 인공위성으로 하늘이 가득할 것이며, 캄캄한 하늘에서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아주 적을 것"이라며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했다.이와 관련, 지난주 영국 왕립천문학회(RAS)와 영국우주국(UKSA)은 '어둡고 고요한 하늘'을 주제로 긴급 회의를 소집하고 관련 규제 필요성을 촉구했다.로버트 매시 RAS 부국장은 "세계는 우주공간 사용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목도하고 있다"며 "2030년까지 수십만개의 인공위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실제 예측"이라고 말했다.매시 부국장은 "이런 하늘에서는
2023-01-30 09:40:04
"휴대전화 안터져도 문자 보낼 수 있다" 애플의 비밀병기는?
애플은 15일(현지시간) 휴대전화 서비스가 작동하지 않는 지역에서도 아이폰 14는 위성을 통해 문자로 긴급 서비스를 요청하는 '위성 SOS 서비스'를 통해 문자를 보낼 수 있다고 밝혔다.따라서 아이폰14 이용자들은 산 속 캠핑이나 늦은 시간 외딴 지역에서 운전하는 등 휴대전화 네트워크 밖에 있을 때에도 만약 긴급상황이 생기면 문자로 긴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이 서비스는 루이지애나에 본사를 둔 글로벌스타가 쏘아 올린 24개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다.애플은 이를 위해 4억5천만 달러(약 5천922억 원)를 투자했다.다만, 이 서비스 기능은 아이폰14에만 탑재됐다. 애플은 지난 9월 아이폰14 4개 모델을 출시하면서 위성을 통한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을 소개한 바 있다.또 이 기능은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우선 서비스된다. 애플은 한국 등 다른 지역 서비스 일정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이 서비스는 처음 2년간 무료로 제공되며 이후에는 유료로 전환될 예정이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2-11-16 09:41:30
"하늘이 다 안다"…온실가스 얌체국가, 위성이 감시
세계 각국이 전세계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줄이기 등을 약속한 가운데, 이를 점검할 수단으로 위성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위성 기술을 활용해 숨은 온실가스 배출원 등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위성이 온실가스 배출을 탐지하는 방식은 '빛반사'로, 분광기를 통해 지구 표면에 반사되는 햇빛을 받아들여 매탄 등 가스를 감지한다. 화학물질 종류에 따라 반사되는 빛이 다르기 때문에 가스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위성이 지구 표면을 자세히 찍어 지구에 전송하면 이를 분석해 공기중에 얼마나 많은 메탄이 있는지, 가스가 나오는 곳이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특히 지금껏 권위주의 국가들은 자국에 항공기 접근 등을 모두 거부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알아내기 어려웠지만, 이제 위성 기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이에 더해 전 세계 대형 기업과 국가들이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대한 약속을 지키고 있는지 꼼꼼히 점검할 수 있다.CNES의 수석 과학자인 줄리엣 람빈은 "위성은 최고의 도구"라며 "조만간 전 세계를 관측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1-10-20 14: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