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개국 중 우리나라 12위…작년보다 4계단 오른 이 지수는?
유엔개발계획(UNDP)이 세계 193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불평등지수(GII)'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올해 12위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16위)보다 4계단 오른 순위다.8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GII 점수는 0.038점으로, 작년(0.062점)보다 0.024점 낮아졌다.국가 성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GII는 '0'이면 완전 평등을, '1'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부문별로 보면 한국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24년 조사 당시 55.0%에서 올해 56.1%로 1.1%포인트 올랐다.중등교육 이상을 받은 여성 인구 비율은 83.8%에서 85.0%로, 여성의원 비율은 18.6%에서 19.1%로 상승했다.청소년 출산율은 1000명당 2.1명에서 0.5명으로 크게 떨어졌다.올해 GII 1위 국가는 덴마크였으며, 2위는 노르웨이, 3위는 스웨덴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를 차지했다.또한 성개발지수(GDI)에서도 한국은 전년보다 한 단계 오른 2그룹에 속했다.GDI는 ▲건강한 삶 ▲교육(지식) ▲적절한 표준 삶 등 3대 영역으로 산출해 각 나라의 성 격차 수준을 1∼5그룹으로 나타내는 지수다.올해 한국 여성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8370달러로 전년(3만1063달러)보다 7307달러 올랐다. 남성은 6만1037달러에서 6만1120달러로 83달러 올랐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5-08 21:25:39
한국 '삶의 질', 193개국 중 몇 위? "점수는 올랐지만..."
유엔 산하 유엔개발계획(UNDP)이 국가별 기대수명, 1인당 국민소득(GNI) 등을 토대로 각국 주민의 삶의 질을 평가한 '인간개발지수'(HDI) 순위를 발표했다. 한국은 지난해보다 한 계단 내려간 세계 20위를, 일본은 한 계단 오른 23위를 기록했다.6일 공개된 '2025 인간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HDI는 2023년 0.937로 집계돼 조사 대상 193개 국가 및 지역 가운데 20위에 올랐다. 전년도(0.928·19위)보다 수치는 올랐지만 순위는 내려갔다.한국의 HDI는 1990년 0.738에서 꾸준히 상승해 2010년, 2012년에 12위에 오르는 등 최상귀 국가군에 포함돼 왔다. HDI는 국가별 기대수명과 기대교육연수, 평균교육연수, 1인당 국민소득(GNI) 등 4가지 객관 지표를 통해 매겨진다.한국의 2023년 기대수명은 84.33년, 기대교육연수와 평균교육연수는 각각 16.62년과 12.72년으로 나타났다. 1인당 GNI는 구매력 평가 기준 4만9천726달러였다.미국은 코로나19 펜데믹 시기에 삶의 질이 크게 하락해 작년 보고서에서 한국보다 세 계단 낮은 20위에 그쳤지만, 올해 17위(0.938)로 순위가 크게 올랐다.다만 미국의 기대수명은 79.30년으로 선진국 가운데선 여전히 짧은 편이었으며 기대교육연수와 평균교육연수는 각각 15.92년과 13.91년으로 한국과 비슷하지만 1인당 GNI는 7만3천650달러로 훨씬 컸다.HDI 순위 1위는 아이슬란드였다. 2023년 기준 인간개발지수 0.972를 기록한 아이슬란드의 기대수명은 한국보다 1.64년 짧았지만, 기대교육연수와 평균교육연수는 2.23년과 1.19년이 더 길고 1인당 국민소득은 6만9천117달러로 집계됐다.아이슬란드에 이어서는 노르웨이(0.970), 스위스(0.970), 덴마크(0.962), 독일(0.959), 스웨덴(0.959), 호주(0.958), 홍콩(0.955), 네덜란
2025-05-07 11:18:20
한국 '삶의질' 세계 19위…1위는?
유엔 산하 유엔개발계획(UNDP)이 각국 주민의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 한국이 세계 19위를 차지했다.UNDP가 13일(현지시간) 공개한 '2023/2024 인간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간개발지수(HDI)'는 2022년 기준 0.929로 집계돼 조사대상 193개 국가 및 지역 가운데 19위로 평가됐다. 지난해에는 20위였다. 한국은 2009년 26위에 오른 이래 2010년과 2012년 전체 12위를 기록했다. HDI는 국가별로 기대수명과 기대교육연수, 평균교육연수, 1인당 국민소득(GNI) 등 4가지 객관 지표를 바탕으로 매겨진다.한국의 2022년 기대수명은 84년, 기대교육연수와 평균교육연수는 각각 16.5년과 12.6년이다. 한국보다 세 계단 낮은 20위에 머무른 미국의 경우 기대수명이 78.2년으로 선진국 가운데선 상당히 짧은 편으로 나타났다.스위스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HDI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스위스인의 기대수명과 평균교육연수는 한국보다 0.3년과 1.3년씩 길었다. 이어 노르웨이(0.966), 아이슬란드(0.959), 홍콩(0.956), 덴마크(0.952), 스웨덴(0.952), 독일(0.950), 아일랜드(0.950), 싱가포르(0.949), 호주(0.946), 네덜란드(0.946) 등 순으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가장 낮은 193위를 기록한 국가는 소말리아(0.380)였고, 남수단(0.381), 중앙아프리카공화국(0.387), 니제르(0.394) 등도 최하위권으로 평가됐다.UNDP는 "2023년에는 세계 HDI 지수가 모든 평가지표에서 (팬데믹이 시작된) 2019년 이전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3-14 18: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