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대 위 수세미, 사람 대변과 '세균 수' 비슷? 충격적이지만...
주방 안 수세미, 사람 대변만큼 세균 많다..."잘 씻어 말려야"주방에서 설거지할 때 쓰는 스펀지형 수세미에 사람 대변만큼 많은 세균이 번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스펀지 속 세균은 대부분 심각한 질환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21(현지시간) 영국 BBC는 식기를 세척하는 스펀지형 수세미에서 최대 362종의 세균을 발견했다는 2017년 연구를 소개했다.해당 연구에 참여한 독일 푸르트방겐대학 소속 미생물학자 마르쿠스 애거트는 "수세미에 형성된 세균의 밀도는 1㎠당 최대 540억마리"라며 이는 사람의 대변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따뜻하고 습한 주방 환경에 노출된 수세미는 틈새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을 경우 다량의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데, 특히 구멍이 많은 많은 '다공성 스펀지'는 세균 번식에 더욱 유리하다.2022년 듀크대학교 합성생물학자 링층유와 그의 연구팀에 따르면, 여러 스펀지 중에서도 다양한 크기의 구멍이 있는 스펀지가 세균 성장을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수세미 속 세균이 건강을 반드시 위협한다고 볼 수는 없다. 연구팀은 세균의 수보다 그 세균의 유해성을 봐야 한다고 전했다.애거트 박사는 "수세미에서 발견된 세균 대부분이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위협이 되지 않는 수준"이라며 "심각한 질병과는 연관이 없다"고 설명했다.그는 "수세미에서 발견된 세균 10종 중 5종은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세균과 관련이 있었지만, 식중독 등 심각한 질환을 유발하진 않았다"고 분석했다.또 애거트는 "식품 매개 질병 입원 사례의 90% 원인인 5가지 세균 중 3종이 대장균, 살
2025-03-24 10:09:14
추석에 지켜야 할 위생수칙…"식중독 예방하세요"
한가위 음식을 건강하게 즐기려면 위생 관리법을 잘 알아야 한다. 최근 달걀로 인한 식중독 사태가 발생하면서, 전이나 부침개 같은 추석 음식을 요리할 때 더욱 위생에 신경쓰는 가정이 많아졌다. 반드시 지켜야 할 가정 내 위생수칙은 무엇일까.먼저 달걀을 입힌 전을 부칠 때에는 조리 전후에 손을 반드시 씻어주어야 한다.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살모넬라 식중독은 달걀을 매개로 감염되는 경우가 많이 때문이다. 선선한 바람이 부는 요즘 같은 날씨는 세균 번식이 오히려 왕성해지기 좋다. 반면, 식중독에 대한 경각심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18일 의료계에 따르면 살모넬라 식중독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달걀 또는 닭, 오리와 같은 가금육, 소고기, 우유가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런 비위생적 상태의 재료가 들어간 음식은 복통과 설사, 구토, 발열 등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잇다.또 식중독은 관리가 미흡한 육류 때문에도 일어나지만 조리 도구가 원인이 되는 경우도 많다. 도마나 칼, 주방 기구 등에 교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애햐 한다. 예를 들어 닭의 분변이 묻은 달걀을 만진 후 손을 닦지 않고 요리하면 균이 음식으로 옮겨갈 수 있다.추석 명절은 음식을 대량 조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정된 조리도구로 다양한 식재자를 다뤄야할 때가 많다. 더욱 위생에 유의해야 하는 이유다.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는 총 5천596명이고, 이 중 3천446명(61.6%)은 9월에 발생했을 만큼 추석 연휴 기간은 식중독을 주의해야 할 시기다.만약 식자재와 음식이 살모넬라균 등에 오염된 상태여도 맛과 냄새에 큰 차이가 없기 때
2021-09-19 18:3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