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복 앞두고 식중독 주의보..."삼계탕 잘 익혀야"
삼계탕 수요가 늘어나는 초복을 앞두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식재료 관리에 신경을 써야한다고 당부했다. 10일 식약처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파악된 '캠필로박터 제주니(이하 캠필로박터)' 식중독 환자 2157명 가운데 983명(46%)이 7월에 발생했다고 밝혔다.캠필로박터 식중독은 닭을 완전히 익히지 않고 섭취하거나 닭을 세척한 물이 다른 식재료에 튀어 오염되면서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은 복통과 설사, 발열 등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손 씻기 및 생닭과 식재료 구분보관 등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우선 음식을 조리하기 전 손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하며 생닭 등을 만진 뒤에는 반드시 다시 손을 씻은 뒤 다른 식재료를 만져야 한다.또한 생닭을 세척한 물이 다른 식재료나 이미 조리된 음식에 튀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생닭의 핏물이 다른 식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해야 한다.특히 음식을 조리할 때는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가열해야 하며 집단급식소에서는 식재료가 충분히 잠길 수 있는 크기의 용기를 사용해 내부까지 골고루 익혀야 한다. 식약처는 "캠필로박터균 등의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생닭을 손질하기 전에 채소류를 먼저 다듬어 준비하는 것을 권한다"며 "칼과 도마 등 조리도구도 육류, 생선, 채소 등 식재료별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3-07-10 18:00:01
여름철 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생닭 세척은 마지막에"
여름철에는 삼계탕 등 닭요리 섭취가 증가하는 시기로, 생닭 취급 및 조리 과정에서 교차오염에 의한 캠필포박터 제주니(이하 '캠필로박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캠필로박터균(Campylobacter sp.)은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염되어 인수공통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각종 야생동물 및 가축 장관 내에 널리 분포한다. 특히 닭, 칠면조, 돼지, 소, 고양이 등에 보균율이 높으며, 인간보다 체온이 높은 가금류의 경우 장내증식이 쉽게 일어난다. 대부분의 균은 37℃에서 잘 자라지만 캠필로박터균은 42℃에서 잘 증식하고, 열에 약해 70℃에서 1분만에 사멸한다. 캠필로박터 식중독의 증상은 다른 세균성 식중독과 다른데, 잠복기간은 2~7일로 길게는 10일까지도 간다. 증상은 보통 발열, 권태감, 투통, 근육통 등 증상이 있고, 이어서 구토, 복통이 나타난다. 그 후 수시간 내지 2일 후에 설사증상을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월별 캠필로박터 식중독은 7월 환자가 88명(총 2,384명의 37%)으로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캠필로박터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로는 학교급식소(47%), 학교 외 집단급식소(23%) 순이었으며, 주요 원인식품은 육류, 채소류 등으로 조사됐다.캠필로박터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먼저, 생닭을 냉장고에 보관할 때에는 생닭에서 나온 핏물로 다른 식품이오염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를 사용하고 냉장고 제일 아래 칸에 보관해야 한다. 생닭을 조리할 때는 채소류,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세척하고, 생닭 세척 전에는 씻어놓은 채소류, 조리기구 등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주변을 치
2020-07-23 09: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