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잔, 두 잔...분위기 타다 큰일난다" 명절엔 '이것' 조심하세요
가족들과 술자리를 갖기 좋은 설 연휴지만, 분위기에 휩쓸려 과음·폭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음주 후 체내에서 분해되는 독성 물질이 부정맥이나 뇌졸중, 췌장염을 유발하거나 심할 경우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고려대 안암병원 부정맥센터 심재민 교수는 "과음 후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장 내 혈전이 생길 수 있다"며 "심장마비나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과음은 심장뿐만 아니라 뇌와 췌장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 음주 후에는 혈관이 이완되면서 혈액이 몸 아래쪽으로 쏠려 뇌로 공급되는 혈액량은 줄어드는데, 이때 뇌혈관이 수축하면서 뇌세포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해 뇌졸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췌장은 알코올에 매우 취약한 기관으로 폭음 후 췌장염이 생기기도 한다.또 술을 마신 후 체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독성 물질이 분해되는데, 이는 심장의 수축 능력을 저하한다. 만약 음주 중이거나 숙취로 인한 호흡곤란, 가슴 두근거림, 흉통,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바로 안정을 취해야 하며, 증상이 지속되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알코올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따라서 WHO의 폭음 기준에 따라 남성은 하루 7잔(알코올 60g), 여성은 소주 5잔(알코올 40g) 이상을 넘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하지만 심 교수는 "WHO의 폭음 기준은 최소한의 권고 수준"이라며 "최근 연구 결과, 약간의 음주도 부정맥 등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오고 있어 가능한 한 완전히 금주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설명했다.끝으로 심 교수
2025-01-29 16:59:28
과음·폭음하면 심장 주변에 '이것' 생긴다
과음·폭음 등 지나친 음주는 '이소성 지방'을 늘어나게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나 나왔다. 이소성 지방이란 근육, 심장, 간, 신장 등 본래 지방 조직이 없는 부위에 쌓이는 지방으로 심장과 간 등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미국 웨이크 포리스트 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리처드 카지브웨 교수 연구팀은 유럽, 아프리카, 히스패닉, 아시아계 성인 6천756명(45~84세, 여성 47.2%)을 대상으로 진행된 '다민족 동맥경화 연구'(MESA) 자료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이 자료에는 이들의 음주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와 6천734명의 심장CT(심장 주위 지방, 간 지방) 그리고 1천934명의 복부 CT(피하 지방, 근육 사이 지방, 내장 지방) 영상 자료가 담겨 있다. 연구팀은 이들을 가벼운 음주(하루 1잔 이하), 보통 정도의 음주(하루 1~2잔), 과음(하루 2잔 이상), 폭음(어느 한 날 5잔 이상), 평생 금주, 전에 마시다 끊은 그룹으로 각각 나눈 다음, 그룹 별 CT 검사 결과를 대조했다. 전체적으로 과음과 폭음을 한 그룹은 평생 금주한 그룹보다 심장 주위 지방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 주변 외에 다른 부위의 이소성 지방도 상당히 많았는데, 특히 심장과 간 주위에 가장 많았다. 이들이 마신 술의 종류를 놓고 비교하면 포도주를 마신 사람이 맥주나 독주를 마신 사람보다 심장 주위 지방이 적었다. 이는 포도주에 포함된 폴리페놀 같은 유익한 성분 때문일 것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전체적으로 알코올 섭취와 이소성 지방의 관계는 알코올 섭취량 대비 건강 위험이 크게 높아짐을 보여주는 J자 곡선 형태를 띄었다. 과음과 과도한 이소성 지방은 모두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인 만큼, 이번 연구 결
2023-09-14 17: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