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 팍팍", 다들 똑같네...국민 10명 중 7명은 '형편 나빠졌다'
국민 70% 이상은 가계 형편이 작년보다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19세 이상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민생 경제 현황을 조사한 결과, 가계 경제가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답한 국민이 71.5%로 확인됐다고 20일 밝혔다.가계 경제 악화 또는 개선 수준에 대해서는 '20~30% 악화'를 택한 응답자가 26.4%로 가장 많았고, '0~10% 악화' 23.2%, '10~20% 악화' 21.5%, '0~10% 개선' 18.5% 순이었다.특히 경제적으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물가 상승'(71.9%)이라고 답한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 순으로 집계됐다.물가가 가장 오른 부문을 묻자 72%는 '식료품 및 외식비'를 꼽았고, 11%는 에너지비, 4.5%는 주거비라고 답했다.내년 가계 경제 전망에 관한 질문에서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64.2%로 '개선될 것'(35.8%)이라는 응답보다 훨씬 높았다.가장 필요한 물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순이었다.일자리 분야에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공정성 확보'(14.0%) 등의 순이었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 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투자·고용 확대를 유도하고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
2025-03-21 11:33:46
저출산, 韓 잠재성장률 끌어 내린다...2061년부터 '마이너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저출산·고령화로 2060년대 이후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마이너스(-) 성장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노동 공급 확대가 이 전망치를 0.4~0.8%포인트 상승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한경협은 28일 '저출산·고령화 시대 노동공급 확대의 경제적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저출산·고령화가 불러오는 마이너스 성장을 완화하기 위해 노동공급을 늘려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한경협은 인구감소로 인해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점점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2060년대 이후 잠재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031~2040년 1.0% ▲2041~2050년 0.7% ▲2051~2060년 0.2%까지 하락하다가 ▲2061년 이후 -0.1%를 기록해 마이너스 성장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한경협은 잠재성장률 하락의 주요 원인을 '노동공급의 감소'로 진단했다. 자본과 총요소생산성(TFP)의 성장률 감소 역시 잠재성장률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다.보고서는 출산율 제고, 이민자 확대,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등을 고려한 노동 공급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2026~2030년 0.4%포인트 ▲2031~2040년 0.6%포인트 ▲2041~2050년 0.7%포인트 ▲2051~2060년 0.8%포인트 ▲2061~2070년 0.8%포인트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경헙은 출산율 제고를 위한 근로시간 유연화, 일·가정 양립 강화는 물론 양질의 일자리 창출,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확산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 등 노동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또 이민 확대를 위한 외국인의 영주권 취득·국적 취득 요건 완화, 전문인력에 대한
2024-08-29 10: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