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 바이러스, 사멸 후에도 면역세포에 흔적 남겨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사멸 후에도 환자의 면역세포에는 흔적을 남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신의철 센터장 연구팀은 서울시 보라매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밝혀냈다.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의 혈액이나 체액 전파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간경화나 간암 등 합병증을 초래한다.우수한 항바이러스제 개발로 완치율이 100%에 근접해졌지만, 치료 후에도 환자의 면역 체계가 완전히 정상화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었다.연구팀이 만성 C형 간염환자의 혈액을 채취한 뒤 항바이러스 치료 후 '조절T세포'(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세포)의 상태를 비교한 결과,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말초 혈액 속 조절 T세포가 많아지는데 바이러스를 제거한 뒤에도 많은 수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NA 염기서열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바이러스가 사라져도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종양괴사인자(TNF) 생산 능력이 사라지지 않았다.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조절 T세포의 염증성 특성이 완치 후에도 여전히 남아 있다는 뜻이다.공동 제1 저자인 김소영 연구원은 "C형 간염 치료 후에도 조절 T세포가 정상화되지 않는다는 보고는 있었지만, 분자 수준에서 바이러스가 남긴 '면역 흉터'를 명확히 그려낸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신의철 센터장은 "다른 만성 바이러스 감염에서도 유사한 후성유전학적 흔적이 남아 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며 "코로나19 감염 후 장기 후유증(롱코비드)에 대해서도 조절 T세포 흔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
2024-07-09 11:08:09
코로나19 변이에도 대응하는 '이 세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에 맞춰 면역체계도 대응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은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신의철 센터장(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오미크론 변이 돌파 감염 때 형성된 기억-T세포가 변형된 바이러스에도 면역력을 보였다고 전했다. 기억 T세포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역할도 있다. 2021년 말 출현한 오미크론 변이주는 BA.1, BA.2를 시작으로 BA.4/BA.5, BQ.1, XBB 계열, 최근에는 JN.1까지 나와 빠른 전파력을 보이고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백신을 접종하면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와 기억-T세포가 형성된다.중화항체는 숙주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아준다. 기억-T세포는 바이러스를 제거해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준다.연구진에 따르면 BA.2 오미크론 돌파 감염을 겪은 후 BA.2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출현한 BA.4/BA.5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기억-T세포 반응도 더불어 강화된 것을 확인했다.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오미크론 돌파 감염이 발생하면 이후 출현하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능력이 강화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이뮤놀로지'에 지난 20일 실렸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1-22 15:4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