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t 쓰레기 뒤져 1천828만원 찾았다...돈 버린 주인 "눈물났다"
환경미화원들의 도움으로 쓰레기가 될 뻔한 현금 2천600만원 중 1천828만원이 주인에게 되돌아갔다.5일 세종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오전 10시께 세종시청 자원순환과에 전화 한 통이 걸려 왔다. 강현규 주무관은 다급한 목소리의 민원인을 안정시키고 사정을 물었다.전화를 건 사람은 세종시 한 아파트에 사는 60대 여성으로, 그는 아들 병원비로 쓸 돈 2천600만원을 쓰레기로 착각해 쓰레기 자동 집하시설(크린넷)에 넣었다며 도움을 요청했다.강 주무관은 크린넷에 투입된 쓰레기는 폐기물 집하장으로 이송돼 매립된다는 사실을 떠올리고 곧바로 폐기물 집하장에 연락해 쓰레기 반출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문했다.60대 여성은 즉시 폐기물 집하장으로 이동했으나 24t 컨테이너 상자에 압축된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보고 매우 놀랐다.여성은 돈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포기하려 했지만, 아들 수술비라는 말을 들은 환경미화원들은 쓰레기 더미를 뒤져보기로 결정했다.그들은 쓰레기가 담긴 컨테이너 상자를 넓은 공터로 옮긴 뒤 쓰레기를 쏟아 놓고 하나씩 뒤지기 시작했다. 크린넷이 강력한 압력으로 쓰레기봉투를 빨아들이면서 쓰레기봉투 대부분은 이미 갈기갈기 찢어진 지 오래였고, 쓰레기봉투 안에 있던 내용물들도 사방팔방 흩어져 있었다.그러던 중 한 환경미화원이 5만원짜리 지폐 한장을 발견했다고 외쳤고, 그 옆에서 또 다른 환경미화원이 만 원권 지폐 서너장을 발견했다.그렇게 쓰레기 더미를 헤집으며 돈을 찾은 지 8시간이 지났고, 환경미화원들은 총 1천828만원을 찾아냈다. 나머지 현금은 찢어졌는지 다른 쓰레기에 섞였는지 찾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이 같은 미담은 해당 여성이 시
2025-03-05 20:40:06
7500만원 받고 '불법 음쓰' 처리해준 미화원, 결국...
식당 업주들에게 뒷돈을 받고 음식물 쓰레기를 불법 수거해준 A 용역업체 소속 환경미화원들이 검찰에 넘겨졌다.서울 성동경찰서는 납부필증 스티커가 붙어있지 않거나 배출량을 속인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해준 대가로 7503만원을 받은 환경미화원 3명과 이를 청탁한 업주 22명을 송치했다고 7일 밝혔다.이들 환경미화원은 2019년 4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서울 성동구 일대 음식점과 시장에서 납부필증 스티커를 붙이지 않았거나 실제 배출량보다 적은 금액의 스티커가 붙은 음식물 쓰레기도 수거하며 대가로 매월 2만원~80만원을 받아 챙겼다.일반 가정은 종량제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버리지만, 음식점 등 업소에서는 폐기물 수수료 납부필증 스티커를 구입해 음식물 쓰레기통에 붙이는 방식으로 배출한다.서울시의 경우 성동구 등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5ℓ 700원, 25ℓ 3500원, 120ℓ 1만6800원 등을 받고 있다는데, 보통 음식점주들은 한 달 납부필증 구매 비용으로 5~50만 원 정도를 지불한다고 한다.경찰 관계자는 "환경미화원이 처리비용을 가로채면 구청의 납부필증 수익이 줄게 되고, 그만큼 구민들에게 간접적인 피해를 준다"고 설명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11-08 13:46:33
"폐기물 수거 3만원"...'따방' 하던 미화원, 실업급여 받나?
무단으로 나뒹구는 폐기물을 수거해주고 대가를 받는 일명 '따방' 행위를 하다 해고된 환경미화원이 실업급여를 달라고 소송을 냈지만 1심 패소했다.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8단독 정우용 판사는 최근 A씨가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인정하지 않은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북부지청을 상대로 낸 소송을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환경미화원으로 일하던 A씨는 납부 필증이 붙지 않은 대형 폐기물을 수거해주고 주민에게 3만2천원을 받았다가 2021년 4월 해고됐다.A씨는 이후 노동청에 실업급여를 신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직책을 이용해 공금을 횡령하거나 배임해 해고된 자'로서 고용보험법상 수급 자격 제한 대상이라는 이유였다.재심사 청구마저 기각되자 그는 지난해 7월 행정 소송을 냈다.법정에서 A씨는 "후배 동료의 부탁을 받고 경제적으로 곤궁한 후배를 배려해서 따방 행위를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처분이 과하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재판부는 "따방 행위는 회사에 대한 배임일 뿐 아니라 국가적 환경 정책의 정당한 집행을 방해하는 행위"라며 A씨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노동청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다.재판부는 "회사는 불필요한 폐기물을 추가로 처리하게 돼 노력 및 비용이 추가로 소요됐을 것이므로, 원고(A씨)의 임무 위반 행위로 인해 회사에 재산상 손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서울북부지검은 배임수재 혐의로 A씨를 수사한 뒤 기소유예 처분했다.기소유예는 불기소 처분 중 하나로, 피의사실은 인정되지만 경미한 사안이라 굳이 기소가 필요 없다고 판단될 때 내려진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
2023-01-09 09:5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