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대, 10명 중 8명은 친구 사귈때 '이것' 본다
10·20대들의 10명 중 8명은 친구를 사귈 때 특정 MBTI(성격유형검사) 유형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등장했다.형지엘리트는 지난 2~15일 초·중·고·대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친구관계 관련 설문조사를 해보니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29일 밝혔다.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가운데 93%는 새학기 증후군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 중학생은 친구 관계(39%)에 대한 스트레스가 학업 부담(37%)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입시 경쟁에 놓인 고등학생은 친구 관계(33%)보다 학업 부담(35%)이 크다고 답했다.대학생은 친구 관계(28%)로 인한 스트레스가 학업 부담(15%)을 크게 앞섰다.친구를 사귈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성격이 가장 많았따.응답자의 74%가 친구를 사귈 때 성격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고, 취미·관심사(21%), 외모(3%) 등 순이었다.MBTI(성격유형 검사)에 따라 친구의 성격을 판단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MBTI는 외향형(E)-내향형(I), 감각형(S)-직관형(N), 사고형(T)-감정형(F), 판단형(J)-인식형(P) 등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해 총 16가지 유형의 성격을 나누는 성격유형검사다.친구를 사귈 때 선호하는 MBTI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4%나 됐다.특히 자신과 같은 성향의 친구를 더욱 선호하는 추세가 나타났다.감정형 응답자의 경우 감정형을 선호하는 비율은 49%에 달했지만, 사고형 친구를 선호한다는 답변은 7%였다.다만 응답자의 54%는 친구를 사귈 때 MBTI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응답자의 과반수인 56%는 현재의 친구 관계에 만족한다고 답했고, 보통(37%), 불만족(7%) 순이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3-30 10:34:10
1020 "자녀 필요없다" 절반 넘어...결혼 생각은?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절반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10~20대는 과반수가 결혼 후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만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의 비중은 50.0% 확인됐다.나머지 절반은 굳이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 한다는 의미다.성별에 따른 결과를 보면 남자는 절반 이상(55.8%)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여자는 44.3%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결혼 후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 사람은 65.3%로 집계됐다.특히 10대들은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의 비율이 41.1%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다.20대도 마찬가지로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절반에 못 미치는 44.0%에 불과했다.10~20대 과반은 결혼을 해도 자녀를 갖지 않아도 된다고 느낀 것이다.현재 결혼·출산 적령기인 30대도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54.7%에 그쳤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3-23 16:4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