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 뉴스
    • 카테고리
      • 임신·출산
      • 육아
      • 요리
      • 생활·문화
      • 경제
      • 교육
      • 건강
      • 리빙
    • 전체뉴스
    • 많이 본 뉴스
  • 육아
  • 교육
  • 경제
  • 매거진
    • 매거진
    • 모델신청
    • -결과발표
  • 서울베이비페어
    • 전시회정보
      • 전시회소개
      • 지난전시회
    • 관람안내
      • 전시회소식
      • 참가브랜드
      • 전시장지도
    • 참가업체안내
      • 업체공지사항
      • 자료실
    • 이벤트
      • 베이비페어 이벤트
      • 참가브랜드 이벤트
  • 검색버튼
  • 검색하기
  • 뉴스
    • 임신·출산
    • 육아
    • 요리
    • 생활문화
    • 경제
    • 교육
    • 건강
    • 리빙
    • 전체뉴스
    • 많이 본 뉴스
  • 서울베이비페어
    • 전시회정보
      • - 전시회 소개
      • - 갤러리
      • - 지난전시회
    • 관람안내
      • - 입장방법
      • - 무료입장
      • - 전시회 소식
      • - 참가브랜드
      • - 전시장지도
      • - 교통 및 주차
    • 참가업체안내
      • - 업체 공지사항
      • - 참가신청방법
      • - 자료실
      • - 광고제휴
      • - 자주묻는 질문
    • 이벤트
      • - 서울베이비페어 이벤트
      • - 참가브랜드 이벤트
  • 매거진
    • 매거진 리스트
    • 모델신청
    • -표지모델 결과발표
  • 이벤트
    • 이벤트
    • 당첨자발표
    • 체험단 모집
    • 체험단 후기
    • 임신부 선물팩

News뉴스

  • 임신·출산
  • 육아
  • 요리
  • 생활·문화
  • 경제
  • 교육
  • 건강
  • 리빙
  • 전체뉴스
  • 많이 본 뉴스

#ASD

  • HOME
  • 뉴스
  • 태그
  • 유아기 감염질환 심하면 자폐증 위험 ↑…'독감, 백일해 등'

    유아기에 독감, 백일해 등 감염질환을 심하게 겪은 남자아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을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의대 소속 알치노 실바 신경생리학 교수 연구팀이 유아 360여만 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일(현지시간) UPI통신은 보도했다.연구팀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약 360만 명의 유아 중 약 2만3천 명(남아 약 1만8천200명·여아 4천400명)이 ASD 진단을 받았는데, 이는 감염질환 이력과 상관성이 있었다.생후 18개월~4세 사이에 ASD 진단을 받은 남자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독감, 피부염, 백일해, 수족구병, 식중독, 폐 진균증 등 감염질환을 크게 앓아 입원 치료를 받았을 가능성이 높았다.아이들이 심한 감염질환을 겪은 후 면역체계에 영향을 받아 신경질환 위험이 높아진다는 선행 연구 결과들이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번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 하는 것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앞서 언급된 유아 감염질환들은 대부분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하므로, ASD 위험을 더욱 차단하기 위해 각종 감염질환 예방 백신을 반드시 접종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또 심한 감염은 유전자 변이의 원인을 발생시키는 뇌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유전자 변이는 아이들을 ASD로부터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즉 유전자 변이는 그 자체가 ASD로 이어지는 건 아니지만, 상당한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강력한 감염질환과 마주칠 시 ASD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현재 미국 국립 아동보건·인간발달연구소에 따르면 ASD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자폐아마다 원인이 다를 수

    2021-09-22 22:22:38

  • 아이와의 대화 첫걸음, '감각 선호' 아는 것이 관건

    조금이라도 소리가 나는 걸 못 참고 울거나 떼를 쓴다. 아빠가 계속해서 말을 걸지만 좀처럼 입을 열지 못한다. TV만 틀면 빨려 들어갈 것처럼 화면을 쳐다본다. 다른 아이들은 다 좋아하는 짜장면을 시켜주면 질색을 한다. 책을 읽어주는데 차분히 보지 못하고 책장 넘기는 행동에만 집중한다. 지난 8일 함께웃는 재단 주관, 신한카드·사회복지공동모금회 후원으로 진행된 강연 '네 마음을 보여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의 언어 및 사회성 증진법' 연사로 나선 박혜원 연우심리상담소장이 이러한 아이의 행동에 해결책을 제시했다. 박 소장의 설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의 감각 선호(Sensory Preference)를 알고 있는 게 중요하다. 감각 선호는 아이를 이해하는 통로다. 특히 자기 의사 표현이 확실하지 않은 자폐성향을 가진 아이들에게 더 그렇다. 이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통해 감정을 유추해야 하기 때문이다.    감각 선호는 과민과 둔감 둘로 나눠진다. 과민은 고통스럽기 때문에 회피하려는 성향을, 반대로 둔감은 추구하는 성향을 보인다. 아이가 작은 소리도 못 참는 것은 소리에 과민해서다. 소리라는 감각이 본인을 괴롭게 한다고 판단한 아이가 그 소리를 피하기 위해 우는 것이다.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운동계획에 과민하기 때문이다. 말을 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다양한 근육과 움직임은 운동계획에 과민한 아이 입장에서 피로도가 높은 행위다. 자장면을 싫어하는 것도 특이한 게 아니라 자장면이 어떤 계기로 인해 아이에게 '피하고 싶은 냄새'로 인식됐기에 나타나는 반응이다. 책을 읽어주

    2017-12-11 15:50:04

  • 1

키즈맘소식

  • 키즈맘 키즈맘 쇼핑몰 최저가 도전!
  • 키즈맘 2018 서울베이비페어 서포터즈 발표
  • 키즈맘 서울베이비페어 홍보 이벤트 당첨자 발표
  • 회사소개
  • 기사제보
  • 광고.제휴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고객센터
  • 사이트맵

(주)키즈맘 l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사임당로8길 13, 4층 K376호| 발행인 : 현영희 | 편집인 : 현영희

개인정보보호책임자(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 : 김경림
사업자등록번호 : 104-86-32598 l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2784 l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3-서울 서초-2459호 사업자정보확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2784 | 등록일(발행일): 2013년 8월22일

고객센터 : 02-410-3680 (평일 09:00~18:00 / 점심시간 12:00~13:00 / 주말 및 공휴일 휴무)

Copyright (c) 2016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바일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