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 하면 CT찍고 피 뽑고...선 넘은 '과잉 검사' 딱 걸렸다
일부 병원에서 CT 촬영 같은 고가의 검사와 혈액 검사 등을 과하게 시행했다는 분석이 나왔다.27일 서울 여의도 건보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에서 열린 미디어아카데미에서 정기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2023년 코로나19 환자에게 CT 검사를 유독 많이 한 병원들에 대한 자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이 자료에 따르면 CT 검사율이 가장 높았던 A 병원은 코로나19로 치료받은 환자 8천602명 중 30.6%에 달하는 2천630명에게 CT 검사를 시행했다. 이 병원에서 코로나19로 외래나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 10명 중 3명이 고가의 CT 검사를 받은 셈이다.두 번째로 검사율이 높았던 B 병원도 코로나19 환자 1천904명 중 528명(27.2%)에게 CT 검사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CT는 X-선을 이용해 인체의 단면 영상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검사로, 이를 통해 단순 X-선 촬영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인체 내부의 다양한 구조물(뼈, 혈관, 장기 등)을 횡단면 3D 영상 등으로 구현해 자세하게 볼 수 있다.코로나19 입원 진료를 받은 환자로 범위를 좁히면 이들 병원의 CT 촬영률은 97.2%에 달한다. 건보공단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폐렴 여부를 진단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지만, 호흡기내과 전문의인 정 이사장은 "폐렴은 CT로 진단하는 병이 아니다"고 지적했다.그는 "통상 폐렴은 X-선 검사에서 폐렴에 해당하는 침윤과 백혈구 수치 증가, 숨 가쁨, 가래 등의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진단한다"면서 "CT 촬영률이 97.2%라는 건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는 이런 진단 과정과 상관없이 무조건 CT를 찍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정 이사장은 코로나19 치료제가 충분히 공급되는 상황에서 특별한 증상이 없는 환자에게 무
2025-03-28 14:48:39
국립중앙박물관 입구에 X레이 검색기 생긴다...왜?
2019년 이후 약 5년 만에 국립중앙박물관이 보안검색을 재개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따르면 올해 5월부터 박물관 입장객의 소지품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 장비는 상설전시관 1층 입구에 마련된다.박물관이 처음 보안검색을 실시했던 2017년 당시, 상설전시관 입구에 X-레이 검색기 등 소지품 검사 장비가 설치됐다. 하지만 검색대에서 소요되는 시간 등으로 줄이 길어지는 등 입장에 불편을 준다는 지적이 나오자 2019년 보안검색을 중단한 바 있다.박물관 측은 최근 국내 주요 시설에 테러를 예고하는 협박이 발생하는 등에 따라 안전 문제를 예방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상설전시관 입구에는 X-레이 검색기, 문형 금속탐지기가 각각 2대씩 생긴다.또한 소지품을 물품 보관소에 맡기는 가지고 들어가는 물건이 없는 경우 빠르게 입장할 수 있도록 문처럼 생긴 탐지기를 1대 세워 놓을 계획이라고 박물관은 전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1-31 09: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