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물’ 걱정 없이 베란다 채소 키우세요

입력 2011-03-24 13:17:52 수정 20110324144919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파릇파릇 새싹이 돋고 알록달록 꽃망울이 터지는 봄을 맞아, 농촌진흥청에서 베란다에 재배하기에 적합한 채소 종류와 관리하기 쉽고 편리한 물 관리 방법을 제시했다.

▲ 베란다 채소텃밭은 채소 값을 비롯해 물가가 많이 올라 장보기가 두려운 요즘, 가정의 천연냉장고이자 상큼한 녹색 디자이너로서, 생활의 건강 활력소로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베란다 채소로 적합한 종류로는 쑥갓이나, 청경채, 비타민다채, 아욱 등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상추 역시 베란다 채소로 좋다.

상추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 ‘청치마 상추’를 추천한다. 이는 생육이 빠르고 베란다 환경처럼 햇빛이 적은 환경에서 웃자람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집 앞에 높은 건물이 있거나 남향이 아닌 햇빛 양이 적은 곳에서는 상추가 잘 자라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부추나 파, 엔다이브, 치커리, 생강, 신선초가 적합하다.

과채류의 경우는 햇빛과 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베란다에서는 만족할만한 열매를 기대하기 어렵다. 베란다에서 무난한 과채류는 방울토마토로 요즘에는 키가 작은 품종들이 개발돼 가정에서 키우기 편리하다.

▲ 많은 사람들이 가정에서 식물을 기를 때 제대로 된 물 관리가 가장 어렵다고 한다. 이에 농진청 도시농업연구팀에서 심지관수법을 추천한다.

심지관수법은 화분 위에서 물을 주는 것이 아니라, 심지(헝겊)의 모세관 작용을 이용, 화분 아래쪽에서 흙 속으로 수분을 공급시키는 저면관수 방식으로, 가정에서 일반 화분이나 재활용 스티로폼 상자,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해 쉽게 만들 수 있다.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채소를 심을 용기와 물을 담아둘 용기를 준비한다.

심지역할을 할 부직포나 도톰한 천을 화분 바닥 배수구멍에 끼워 바닥 밑으로 길게 늘어트린 후, 화분에 배양토를 담고 씨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는다.

준비해둔 또 다른 용기에 물을 채우고 모종을 심은 화분 하단에 놓아두면 뻗어 나온 심지를 타고 물이 흙으로 흡수되게 된다. 단, 화분이 물에 직접 닿으면 과습해지므로 용기에 물을 채울 때는 위 화분에 닿지 않을 정도로 채운다.

이 심지관수법은 물을 위에서 주는 것이 아니기에 배수구멍으로 물이 흘러나와 지저분해질 우려도 없고, 심지가 식물이 잘 자랄 정도로 적정하게 물을 공급해 주므로 과습하거나 건조해서 식물이 죽게 될 염려도 없다.

농촌진흥청 도시농업연구팀 문지혜 박사는 “심지관수 방식은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고 생활의 여유가 많지 않은 바쁜 현대인들이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다. 현재 디자인을 가미한 채소재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고, 올 여름 쯤에는 소비자들이 접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한경닷컴 키즈맘뉴스 임수연 기자 (ysy@kmomnews.com)

입력 2011-03-24 13:17:52 수정 20110324144919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