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준수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등이 대한정신약물학회지를 통해 안정화된 환자와 재발 환자 각 165명씩 6개월간 발생한 의료비용을 비교 조사한 결과다.
권 교수는 “이번 조사는 국내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서 최초의 비용 비교분석 연구로, 이를 통해 정신분열병 치료에 투여되는 비용의 효율성을 재고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신분열병은 전 국민의 1%가 앓고 있는 병으로 전체 국내 의료비용의 1.6%가 그 치료에 투입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는 직접비만을 고려한 것으로 영구장애인의 10%, 노숙자의 14%가 정신분열병을 앓고 있어, 직간접적인 비용을 모두 포함하면 훨씬 큰 수치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05년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직접비용이 4천286억 원, 간접비용을 포함하면 우리사회가 3조2천510억 원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환자의 의료비용 중 입원비와 식대 등 안정기 환자에게 포함되지 않는 항목을 제외하더라도 재발환자의 6개월간 의료비용은 336만5천70원으로 안정기 환자의 106만4천122원에 비해 많았다.
조사 기간 중 환자군에 따른 외래 방문 횟수를 보면 재발환자가 평균 6.6회, 안정기 환자가 7.3회로 통계적으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회 방문 비용의 경우 재발환자가 12만9천71원, 안정기환자가 16만3천490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재발환자의 6개월간 입원으로 발생하는 비용(병실/간호사비용, 입원식대)은 평균 370만9천857원으로 안정기 환자 치료비용 전체의 3배를 넘었고, 재발환자 의료비용의 52.4%를 차지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 교수는 “치료초기에 환자에게 맞는 약물을 사용해, 재발에 의한 입원을 막는 것이 의료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키즈맘뉴스 김연정 기자(kyj@kmo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