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ign=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현숙 의원이 12일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조산아 출생비율이 1995년 2.5%에서 2012년 6.3%로 급증했다. 저체중아 출생비율도 1995년 3.0%에서 2012년 5.3%로 증가했다.
조산아는 임신기간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기, 저체중아는 체중이 2.5kg 이하로 태어난 아기를 말한다. 이렇게 조산아·저체중아가 태어나는 현상은 임신부의 고령화와 임신 전 부실한 건강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금까지의 사회적 통념상으로는 평균 임신 연령이 높아진 것이 저체중아·조산아 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곤 했다. 실제 35세 이상 여성의 노산 비율이 7년새 4배(1995년 4.8%, 2012년 18.7%) 가까이 높아졌고, 35세 이상 임신부에게서 태어난 조산아도(1995년 8.7%, 2012년 24.1%)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하지만 2012년 기준 전체 저체중아·조산아 중 35세 이상 산모의 출산은 각각 23.7%와 24.1%를 기록했다. 고령 산모의 저체중아·조산아 출산율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해도 전체 이상 출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명 중 1명에 못 미치는 꼴이다.
통계청의 자료를 분석해보면 이상 출산이 늘어나는 경향은 35세 이상의 고령 엄마들에게서 뿐만아니라 모든 연령대에서 고르게 늘어났다. 이는 나이와 무관하게 여성들의 출산 건강과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고령의 출산예정자들 외에도 임신 전 여성들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지난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3년간 출산 경험이 있는 전국 여성 1549명을 상대로 실시한 '임신 준비 및 출산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보면 성인기 부인계 질환 경험자 중 병·의원을 이용한 비율은 64%에 그쳤다.
이에 대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상림 부연구위원은 "산부인과 이용에 대한 사회적 선입견이 임신 이전 여성들의 산부인과 이용을 크게 제한하고 있다"며 "임신 전의 부인계 질환 경험은 수년 전의 경증질환이라 하더라도 임신 건강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위원은 "다른 선진국처럼 예방관리를 통한 출산 건강을 증진하려면 고령임신부나 산모 등 특정위험군에 맞춰진 출산 관련 모자보건정책을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임신 전' 출산 건강 지원정책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같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도 선진국처럼 임신 전부터 출산을 위한 건강관리 정책이 필요하다. 한 예로 미국 등 선진국은 건강한 출산을 위해 임신 전에도 엽산제를 지원하고 있다.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임신 전부터 기형아 출산을 막는 엽산제를 복용하는 게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임신 후에나 보건소 등에서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출산 결과는 스트레스, 과로, 약물, 영양상태, 흡연 및 음주, 생식질환 경험, 운동 습관 등 평상시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임신 전 스트레스나 과로 등에 오래 노출되면 출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출산을 위해서는 젊을 때부터 임신에 대해 이해하고 제대로 된 산전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이상 출산으로 태어난 아기는 영·유아기뿐 아니라 성인이 된 뒤에도 만성질환을 앓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키즈맘 신세아 인턴 기자 kizmo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