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은 알지 못하는 병으로 고통 받는 이들이 있다. 바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눈에 보이지 않지만 통증이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럽다는 이 병은 특정부위가 화끈거리거나 타는 듯한 통증, 손발을 자를 때 보다 더 고통스러움을 느낀다. 남들은 꾀병이라 오인하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에 대해 일산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이상일 교수와 알아보자.
CRPS는 골절, 수술, 염좌, 분쇄, 타박상 등의 외상 또는 장기간 석고 등으로 고정했을 때 나타나며 이중에서 약 40% 이상이 골절에 의해서 발생한다. 사소한 초기의 외상에 비해서 과도한 통증이 발생하며 흔히 화끈 거리고 살이 타는 듯한 증상이 나타난다.
미국과 유럽의 통계에 의하면 10만 명당 약 6~25명 정도가 이 병에 노출되어 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약 2∼3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50세~70세 사이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소아에서는 사춘기에 가장 많으며, 6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CRPS의 통증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며, 특별한 환부에 대한 자극이 없이도 화끈거리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 전기 오는 듯 하거나 예리한 칼로 베이는 듯한 통증, 쥐어짜는 듯한 통증 등의 극심한 통증이 특히, 팔, 손가락, 손바닥, 어깨 부위에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주증상인 통증외에 피부 색변화, 땀샘 기능변화, 관절 부종 및 경직 발생, 관절의 운동범위 감소, 손발톱이나 모발의 성장 변화, 피부온도변화 등 동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 CRPS의 증상
- 칼로 베는 듯한, 타는 듯한, 등 일반적인 통증표현과 다르다.
- 보이는 손상도에 비해 통증의 강도는 훨씬 크다.
- 통증이 오래 지속되다보니 치료기간도 길다.
- 스치기만해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 마약성 진통제가 잘 듣지 않는다.
CRPS는 체열검사, 골스캔등의 보조적 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서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 방사선 검사와 MRI 등의 여러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CRPS의 가장 큰 문제는 확실한 치료 방법은 없다는 것. 임상양상에 따라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치료방법이 있다. 또한 교감신경 차단, 경막외신경 차단, 말초부위 신경 차단, 관절강내 주사용법 등의 신경차단요법과 심리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발병후 3개월 이내에 신경차단술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초기 진단 및 치료가 늦어졌더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면 통증의 강도를 상당히 경감시켜 일상의 복귀가 용이해질 수 있으니 꼭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일산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이상일 교수
박미란 키즈맘 기자 parkmran@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