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사시간이 다가올수록 깊어지는 부모의 한숨
. 다름 아닌
, 식사를 거부하는 아이때문이다. 윽박도 지르고 달래도 주고 회유도 해보지만 이런 노력도 한 두 번
, 더이상 먹히지 않는다
. 아이의 잘못된 식사습관 무엇이 문제일까?
먹고
, 자고
, 싸는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을 거스르는 아이의 행동 이면에는 아이의 잘못된 식사습관을 고착시키는 부모의 태도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이의 올바른 식사습관을 위해 지켜야할 부모의 태도에 대해 알아보자.
아이의 올바른 식사습관을 위해 지켜야할 것 식사 전, 간식은 삼가자사람의 공복감은
‘먹는 양
’이 아닌
‘혈당
’에 의하여 느껴진다는 사실! 식사 전
, 혈당을 높이는 간식을 자제하고 식사시간에 맞춰 밥 먹는 습관을 길러 보자
. 만약 간식을 단번에 끊는 것이 아이에게 어렵다면 아이와 약속하고 식사 후에 간식을 주는 쪽으로 유도해보자
. 밥은 식탁에서 아이의 초기 생활습관이 성인이 되어서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이와 기본 생활습관을 명확히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식사습관 또한 초기에 바르게 잡는 것이 중요하다.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밥을 먹지 않도록 아이와 규칙을 정하여 아이가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자. 식탁에서 밥을 먹다보면 밥 먹는 시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아이의 흥미를 끌 만한 것들을 차단하자아이의 흥미를 끌 만한 TV나 스마트폰과 같은 것들을 차단함으로써 아이가 식사 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자
. 외부의 자극을 차단하면 식사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은 물론,밥 먹는 시간을 즐길수 있다.
'한 숟가락만 더'NO!먹기 싫은 아이에게 한 숟가락 더 억지로 먹이지 말자
! 배부른 아이에게 더 먹으라고 강요하는 것은 아이를 또다시 지치게 할 뿐 아니라 식사시간이 아이에게 부정적으로 기억된다
. 오히려 밥릇을 작은 사이즈로 바꾸고 밥의 양을 조금씩 덜어주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 싫어하는 특정 반찬을 강요하지 말자특정 반찬의 강요는 별로 먹고 싶지 않았을 뿐이었던 음식이 절대로 먹기 싫은 음식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싫어하는 특정 반찬을 강요하지 말자
. 대신 지속적으로 식탁 위에 일주일에 한 번 혹은 몇 번 정도 올려놓음으로써 아이가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대신 먹여주지 말자밥 먹을 때 유난히 늦장 부리거나 혹은 잘 먹지 않고 꾸물거리는 아이를 대신해서 먹여주다 보면 밥 먹는 것은 아이의 일이 아닌 부모의 일이 된다. 어느새 부모가 먹여주지 않으면 먹지 않는 아이들
. 시간의 여 유를 가지고 아이가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기다려주자
. 부모가 대신 먹여주는 것은 아이가 스스로 먹게 하는 기회조차 빼앗는 것임을 명심하자
. 참고도서 <워킹맘과 할머니가 함께 읽는 명품 할머니 육아>(인선화 지음/소란)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
입력 2017-11-18 09:00:10
수정 2017-11-18 09: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