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2~2016년 6차(생후 54~60개월) 및 7차(생후 66~71개월)영유아 건강검진 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영양관련 건강행태 빅테이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생후 54~60개월에서는 유아의 저체중 비율이 증가하고, 66~71개월 유아는 비만 비율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며 영유아 영양 불균형 현상에 비상등이 켜졌다.
2016년 기준으로 6·7차 전체 영유아 중 편식 경향이 있는 경우는 42.5%, TV 2간 이상 시청하는 비율은 32.0%, 아침을 거르는 비율은 4.8%, 식사 속도가 빠른 비율은 4.1%로 나타났다. 편식경향이 있는 경우는 최근 5년 사이 2012년(24.6%)보다 1.72배 증가하였고, 아침을 거르는 행태는 1.17배씩.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편식하는 영유아 중 저체중자 비율은 4.54&로 6차 검진 집단 전체 평균비율 (4.09%)보다 높았고, 아침을 거르는 영유아 중 저체중자 비율은 4.39%로 7차 검진 집단 전체 평균비율(4.31%)보다 높았다.
한편, 식사 속도가 빠르면서 TV를 2시간 이상 시청하는 영유아의 경우 비만일 가능성이 컸다. 식사 속도가 빠른 영유아의 비만율은 전체 집단 평균의 4.3배, TV를 2시간 이상 보는 영유아는 비만율이 1.2배, 아침을 거르는 영유아는 비만율이 1.1배 더 높았다.
아침식사를 거르는 등 건강에 좋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유아의 비율이 늘어나며 저체중과 비만 모두 증가하고 영양불균형을 초래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문진수 교수는 7차 수검 시기에 비만 분율이 늘어나는 현상에 대하여 “체질량지수는 6차에서 7차로 넘어가면서 정상적으로 증가하나, 체질량지수 수치가 커지는 것을 넘어서 비만 유병률 자체가 늘어나는 것은 문제”라고 언급하며 아울러 “이 비율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급증하게 되는데, 이대로 가면 향후에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및 성인 비만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영유아의 영양행태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했다.
문창진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대책위원회의 위원장(차의과학대학교 교수)은 “맞벌이가구가 일반화된 오늘날 쉽진 않겠지만 일차적으로는 영유아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어, “근본적으로는 보육시설 확대 설치, 육아휴직제도 실시 등 육아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