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마다 생김새와 타고난 기질이 다르듯 피부의 상태도 제각기다
. 나한테 어울리는 게 상대방에게 안 어울릴 수도 있고 다른 사람에게 효과적인 것이 내게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 그러다 보니 어디를 가나
‘맞춤별
’이 인기인 이유다
. 세월에만 장사 없는 줄 알았던 피부 관리는 추위 앞에도 장사 없다
. 찬바람이 불자
, 널뛰는 피부
. 각질 제거만 잘해도 피부의 안정기를 다시 되찾아 올 수 있다니 귀가 솔깃하지만 무작정 하는 각질 제거는 오히려 피부를 악화시킬 수 있다.
피부 타입별 올바른 각질 제거 방법을 숙지한 후
, 시도하는 것을 권장한다
.오랜 기간 피부의 적으로 오해받으며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는 각질이 사실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각질이 필요하다는 사실
. 유해물질에 잘 녹거나 상하지 않는 각질은 피부 최전방에서 열심히 피부를 지키고 있다
. 그러나 과유불급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 각질이 탈락되지 않은 채
, 묵은 각질이 더덕더덕 층을 이루면 피부 트러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좋은 화장품을 발라도 피부에 흡수되지 않는다
. 와인피부과 전문의 김홍석 원장
(코스모리아 대표 겸)에 따르면, 주
1~2회 정도의 각질 제거를 통해 각질을 관리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각질 제거 시
, ‘외부 자극과 먼지
, 메이크업 잔여물이 남아 있는 저녁에 스팀타월로 모공을 연 다음
, 클렌징과 함께 각질 제거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라고 전했다
. 피부 타입별로 크게 건성
, 지복합성
, 지성 피부 세 가지로 나뉘어 살펴볼 수 있다
. 첫 번째로는 피부가 쉽게 붉어지고
, 극도로 건조한 건성 피부일 경우
, 페이셜 오일로 각질을 부드럽게 다독이는 방법을 권장한다
. 세안 후 페이셜 오일을 얼굴에 마사지하듯 바른 다음
, 스팀타월을 피부에 올리고 약
5분 후 피부결을 따라 타월로 얼굴을 닦아낸 뒤 오일을 한 번 더 덧바르면
, 각질이 정돈되고 오일이 피부에 유분막을 씌워 피부가 한층 매끈매끈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세안 후 피부 땅김이 심한 지복합성 피부라면 스크럽 마스크를 사용해
, 얼굴 전체에 골고루 바른 다음
, 약
3-5분 후 부드럽게 마사지하며 물로 씻어내면 묵은 각질과
T존의 과자 피지
, 블랙헤드를 촉촉하고 매끈하게 정돈할 것을 추천한다
. 다음으로 피지 분비량이 많은 지성 피부로 고민하는 경우
, 건조한 가을과 겨울에는 주
1회 정도 입자가 고운 스크럽제로 피부를 마사지하는 것이 좋다
. 이렇게 하면 묵은 각질부터 과다 피지와 블랙헤드 등의 노폐물을 말끔하게 세정할 수 있다
. 도움말: 김홍석(와인피부과 원장)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
입력 2017-12-07 07:32:00
수정 2017-12-07 09:2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