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 중증 장염의 대표적인 원인인 '로타바이러스' 질환에 관한 초보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지정한
‘최우선적으로 퇴치해야 할 전염성 질병
’ 로타바이러스는
5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위장염 중 하나다
.5세까지의 영유아
95%는 최소 한 번은 로타바이러스에 노출될 정도로 발생 빈도가 높고 탈수가 심해지면 사망할 수도 있을 만큼 치명적이다
. 이에 따라 최근 영유아를 둔 부모 사이에서 로타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유아와 어린이들 사이에서 설사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인플루엔자와 관련 없이 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중 하나이다
.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구토
·발열
·물설사
·탈수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데 증상의 정도는 첫 번째 감염인지 재감염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 대개 환자의
30%는
39℃를 넘는 발열을 보이고 증상은
4∼6일간 지속된다
. 영유아의 경우
, 탈수가 심해지면 사망할 수도 있다
. 종종 감염이 되어도 증상을 보이지 않는 사례도 있다
. 특히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 주로 대변과 입을 통해 감염되며
호흡기 감염도 가능하다
. 대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지만
,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파되기도 한다
. 이에 따라 개인위생에 주의를 기울이고 영유아와 설사 환자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권장한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생후
6주 이후 영유아에서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최대한 빠르게 접종 완료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생후
6주부터 만
8개월 미만의 아기들에게 접종하며 생후
6주 이상의 영아에서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효능 연구에 따르면
, 백신 접종 후
1년 이내에 발생하는 심한 로타바이러스 질환에 대해서는
85~98% 방어력이 있고
, 심한 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로타바이러스 질환에 대해서는
74~87%정도가 예방된다
. 
현재 국내에 허가된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생후
2·4개월에
2회 접종하는
‘로타릭스
Ⓡ’와 생후
2·4·6개월에 걸쳐
3회 접종하는
‘로타텍
Ⓡ’으로
2종이다
. 모두 입으로 먹는 경구 투여 방식이다.
백신 접종 시
, 아기가 토하거나 뱉어내어 권장량을 투여하지 못한 경우 다시 투여하지 말고 백신 투여 일정에 따라 남은 접종횟수를 완료한다
. 다른 제조사 백신으로 교차접종할 경우 효과가 떨어져 동일 제조사 백신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타릭스와 로타텍 두 가지 백신은 각각 2회, 3회로 접종 횟수의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두 백신 모두 생후
6주 이후부터 접종이 가능하며
, 국내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접종 시 생후
8주부터
8주 간격으로 접종 한다
. 로타릭스의 경우 생후
8, 16주에
1회씩 총
2회에 걸쳐 접종하며
, 로타텍의 경우 생후
8, 16, 24주에
1회씩 총
3회 접종한다
. 사진:한경DB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
입력 2018-06-21 17:30:59
수정 2018-06-21 17:39:50
#예방접종
,
#로타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