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작년 합계출산율 0.81명 최저...엄마 평균 출산연령 33.4세

입력 2022-02-23 13:42:01 수정 2022-02-23 13:42:01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지난해 국내 합계출산율이 0.81명을 기록, 역대 최저를 나타냈다. 출생아 수는 26만명대로 더 내려갔고 아기 엄마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더 늦어졌다.

통계청이 23일 내놓은 '2021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81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9년 0.92명에서 2020년 0.84명으로 0.08명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감소 폭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세계적으로 손꼽히게 낮은 수준이다.

2019년 기준 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61명이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한국은 38개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나라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984년 1.74명으로 처음 1명대로 내려간 뒤 2000년대 들어 1.1∼1.3명대로 떨어졌다. 그 후 2018년 0.98명으로 1명 아래를 기록한 뒤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으로 계속 내리막을 타고 있다.

올해는 합계출산율이 0.7명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만500명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년(27만2천300명)보다도 4.3%(1만1천800명)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30년 전인 1991년 70만9천명의 3분의 1 수준, 20년 전인 2001년 56만명의 절반 수준이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주 출산연령인 30대 여성 인구와 혼인건수가 감소한 것이 누적돼 출생아 수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12월 누적 혼인 건수는 19만2천500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9.8%(2만1천건) 감소했다.

노 과장은 "출생아 수가 70만명으로 회복됐던 1991∼1995년생이 주 출산연령 인구로 새로 진입하면 향후 출생아 수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전반적인 혼인·출산 감소로 전체 출생아 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엄마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2019년 기준 OECD 평균은 28.3세다.

출생순위별 엄마의 평균 출산연령을 보면 첫째 애는 32.6세, 둘째 애는 34.1세, 셋째 애는 35.4세였다.

엄마 연령별 출생아 수는 40세 이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했다.

엄마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성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30∼34세)이 76.0명으로 가장 높고 30대 후반(35∼39세) 43.5명, 20대 후반(25∼29세) 27.5명, 40대 초반(40∼44세) 7.6명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은 출산율이 각각 3.1명, 2.9명 감소했다. 반면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은 각각 1.2명, 0.5명 증가했다.

출생아 중 첫째 애 비중은 56.8%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늘었고 셋째 애 이상의 비중은 8.2%로 0.1%포인트 줄었다. 둘째 애 비중은 35.1%로 전년과 비슷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입력 2022-02-23 13:42:01 수정 2022-02-23 13:42:01

#합계출산율 , #출산연령 , #작년 합계출산율 , #한국 합계출산율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