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에 따르면 미국 뉴욕 대학 난임 치료 센터(Fertility Center)의 제임스 그리포 박사 연구팀은 동결 난자를 이용한 출산 성공률은 전체적으로 약 39%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다만 젊었을 때 난자를 동결 보존했거나 동결 보존된 난자 수가 많으면 출산 성공률이 높아진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38세 이하 여성이 동결 난자로 체외수정을 통해 임신한 경우는 출산 성공률이 51%였다.
또 38세 이하 여성이 동결 보존한 난자 20개 이상을 갖고 있는 경우 출산 성공률이 70%까지 올라갔다.
난자의 첫 동결 보존 시기는 평균 38.3세, 첫 동결 보존에서 해동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4.2년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신과 불임'(Fertility and Sterility)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보조 생식술 학회(SART: Society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에 따르면 2020년에 약 1만2천400명의 건강한 여성이 난자를 동결 보존했는데, 이는 2016년 7천200명 미만이었던 데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미국의 주요 보조생식술 클리닉 중 하나인 CCRM(Center for Reproductive Medicine) 원장 티머시 히크먼 박사에 따르면 난자 채취 사이클 한 번에 드는 비용은 약 1만 달러이다. 충분한 난자를 얻으려면 한 번 이상의 사이클이 필요하다.
동결 난자를 보관하는 비용은 연 최대 1천 달러, 해동한 동결 난자를 이용해 체외수정으로 배아를 만들어 시험관 배양, 자궁에 이식하는 데는 5천~7천 달러의 비용이 든다.
이에 더해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려면 추가로 3천 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