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질병관리청의 공식 학술지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생애주기별 한국인의 행복지수 영향 요인' 연구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연구진은 지난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남자 10만2284명, 여자 12만4261명 등 성인 22만6천545명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와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조사 대상의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6.68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주관적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전체의 34.7%였다.
주관적 행복감 인지율을 생애주기별로 나눠보면, 19∼44세 39.5%, 45∼64세 35.3%, 65∼74세 29.7%, 75세 이상 25.7% 등으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진은 "노년기, 즉 노인이 될수록 행복하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결과"라면서 "이는 노인빈곤율과 노인 자살률이 높은 현재 한국 사회의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학력별로는 미취학·초등학교 25.0%, 중고등학교 32.3%, 대학교 이상 44.1% 등이었다. 아울러 가구소득별로는 월 99만원 이하 23.1%, 월 100만∼299만원 이하 31.6%, 월 300만∼499만원 이하 39.8%, 월 500만원 이상 49.1%의 분포를 보였다.
현재 배우자와 같이 살고 있는 경우가 이혼·별거·사별·미혼 등의 이유로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주관적으로 더 행복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왔다.
자원봉사활동이나 종교, 친목, 여가 등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가족·이웃·친구 등 주변과 활발하게 접촉하고,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스스로 생각하며, 사회 물리적 환경에 만족하고,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고 충분히 잠을 깊이 자는 것도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