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입 터졌는데 오히려 살 빠진다? '이 조건'에서는 가능

입력 2024-05-24 10:00:58 수정 2024-05-24 10:00:58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자외선에 노출되면 식욕이 증가하는 반면 살은 덜 찐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정진호·이동훈 교수 연구팀은 만성 자외선 노출이 신경전달물질 노르에피네프린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식욕 증가, 체중 감소 등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기전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자외선은 에너지를 합성하고 분해하는 신체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은 피하지방 함량 및 지방에서 합성되는 아디포카인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자외선이 전신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이제껏 명확히 규명된 바 없었다.

연구팀은 정상식이 및 고지방식이를 각각 먹인 생쥐를 12주 동안 주 3회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시켰다. 그 결과, 자외선 노출군은 피하지방에서 분비되는 '렙틴(식욕억제 호르몬)'의 발현이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식욕이 활성화돼 같은 식이를 먹인 대조군보다 음식 섭취량이 증가했다.

그러나 자외선 노출군의 체중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지는 않았다.

이는 자외선 노출군에서 백색지방의 갈색화가 일어나 음식 섭취량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더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갈색지방은 열을 축적하는 백색지방과 달리 열 발생, 에너지 소모와 관련이 있다.

또한 자외선 노출 시 식욕 증가와 에너지 소모를 촉진하는 매개물질은 위험하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돼 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인 것으로 확인됐다. 자외선 노출군의 피부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해 있었으며, 이 물질 합성을 차단한 생쥐는 그렇지 않은 생쥐보다 음식 섭취량이 줄어들고 체중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자외선 노출이 피부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발현을 촉진해 식욕, 체중 등 대사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를 바탕으로 자외선이 비만 및 대사질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4-05-24 10:00:58 수정 2024-05-24 10:00:58

#자외선 노출군 , #신경전달물질 노르에피네프린 , #에너지 소모량 , #자외선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