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저출산에 청소년 인구 '뚝', 반면 다문화 학생은...

입력 2024-05-29 13:47:19 수정 2024-05-29 13:49:04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지난해 전국 초·중·고등학생의 80%는 사교육을 받았고, 이 중 40%가량이 정규 수업을 제외하고도 3시간 이상 추가로 공부했다고 밝혔다. 특히 초등학생 10명 중 2명은 4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답해 어린 시절부터 공부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 감소 현상으로 청소년 인구도 매년 줄고 있는데 반해, 다문화 학생은 최근 10년 사이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여성가족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4 청소년 통계'에서 이같이 밝혔다.

통계청과 교육부의 청소년 관련 조사를 인용한 이번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생의 평균 사교육 참여율은 78.5%로, 1년 전에 비해 0.2%P 올랐다. 초등학생이 86.0%, 중학생 75.4%, 고등학생 66.4% 순으로 나타났다.

1년 전에 비해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0.8%P, 0.4%P 증가했지만, 중학생의 경우 0.8%P 감소했다.

주당 평균 사교육 시간은 전년보다 0.1시간 늘어난 7.3시간으로 집계됐다.

과목별 사교육 참여율은 일반교과 62.9%, 예체능·취미·교양 46.4%였다. 전년 대비 변화율은 일반교과가 0.3%P 줄었고, 예체능·취미·교양은 1.1%P 높아졌다.

지난해 초등학교 4~6학년과 중·고등학생의 40.2%는 평일 정규 수업 시간 외에 '하루 3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답했다.

특히 초등학생의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은 '1~2시간' 24.8%, '2~3시간' 23.9%, '3~4시간' 16.9%, '1시간 미만' 14.8%, '4~5시간' 10.1%, '5~6시간' 5.8%, '6시간 이상' 3.7%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학생의 약 20%는 정규수업 외 하루 4시간 이상 공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출산·고령화와 인구감소 현상에 따라 국내 청소년 인구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올해 청소년 인구(9~24세)는 782만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5.1%였다. 성별 비율로는 남자가 51.8%로 나타나 여자(48.2%)보다 3.6%P 높았다.

이런 추세로 보면 2050년에는 청소년이 총인구의 9.1%(429만1천명)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청소년은 줄어들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은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다문화 학생은 18만1천178명으로, 전체 학생(521만8천명)의 3.5%를 차지했다. 이는 2013년 5만5천780명에 비해 10년간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기준, 다문화 학생의 63.8%는 초등학생이었고, 중학생은 24.1%, 고등학생은 11.7%였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5-29 13:47:19 수정 2024-05-29 13:49:04

#다문화 , #청소년 , #인구 , #저출산 , #고령화 , #사교육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