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출생아 줄어도 어린이 '안전사고' 증가..."영아기 주의"

입력 2024-05-30 13:22:56 수정 2024-05-30 13:22:56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내년 출생률이 하락하고 있지만, 어린이 안전사고는 증가하고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요망된다.

30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5년간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일어난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는 2만2371건으로 전년(2022년)보다 729건(3.4%) 늘었다.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건수는 시기별 인구 1000명을 기준으로 영아기 12.4건, 걸음마기 10건, 유아기 4.4건, 학령기 1.8건으로 나타났다.

영아기에 가장 많았던 사고는 추락 사고로 62.4%(6722건)를 차지했고, 그 밖의 연령대는 미끄러짐과 넘어짐 사고가 가장 잦았다. 특히 미끄러짐, 넘어짐 사고의 비율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미끄러짐·넘어짐 사고는 1~3세인 걸음마기에 28.4%(1만2052건), 4~6세인 유아기에 34.9%, 7~14세인 학령기에는 35.3%(9407건)로 나타났다.

화상 등 안전사고는 2021년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561건을 기록했다. 화상 사고를 일으킨 주요 물품은 주방 가전(38.7%)이었고, 이외에도 이·미용 등 생활가전(12.6%), 취사도구(10.6%) 등이 원인이었다.

공정위는 연령별로 많이 발생하는 안전사고 유형에 보호자들이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미끄러짐과 넘어짐 사고는 미끄럼 방지 바닥재 설치, 추락 사고는 침대 난간 설치 등을 통해 막을 수 있다. 고온 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도 뜨거운 증기가 나오는 제품을 아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고, 고데기, 커피포트 등 고온 제품은 사용 후 즉시 정리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

관련 통계와 주의사항 등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 24·소비자원·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누리집에서 볼 수 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5-30 13:22:56 수정 2024-05-30 13:22:56

#어린이 , #안전사고 , #출생률 , #공정위 , #한국소비자원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