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술 마시고 취침', 비행기 내에선 삼가세요...왜?

입력 2024-06-05 15:58:00 수정 2024-06-05 15:58:00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기내에서 와인이나 맥주 등 술을 받아 마실 수 있지만, 심장 건강을 생각한다면 자제하는 것이 좋겠다.

장거리 비행 중 술을 마시고 잠들면 기내 기압이 낮아지면서 혈중 산소포화도(SpO₂)가 떨어지고, 심박수는 증가해, 젊고 건강한 사람도 심장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독일 항공우주센터 에바-마리아 엘멘호스트 박사팀이 의학 전문지 '흉부(Thorax)'를 통해 밝힌 것으로, 연구팀은 대기압 조건, 항공기 순항 고도의 기내 기압을 유사하게 설정한 수면실에서 음주 후 수면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순항 고도에서 알코올과 기내 기압 저하가 수면 중 승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8~40세의 건강한 남녀 4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기압(1천13hPa) 수면실과 2천438m 순항 고도(753hPa) 수면실에 각각 배치했다. 그다음 와인·맥주·보드카 등을 마신 사람과 마시지 않은 사람의 수면 주기,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을 검사했다.

실험 결과, 순항 고도에서 술을 마시고 수면한 사람들은 자는 동안 평균 산소포화도가 85% 내외로 떨어지고 심박수는 1분당 평균 88회 수준으로 증가했다. 반면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들의 산소포화도는 평균 88% 이상이었고 심박수는 73회 미만이었다.

대기압 조건에서 술을 마시고 잔 그룹은 산소포화도와 심박수가 각각 95%, 77회 미만으로 나타났고, 술을 마시지 않은 그룹은 96%, 64회 미만으로 확인됐다.

산소포화도가 건강 기준인 90% 이하를 기록한 시간은 순항 고도에서 술을 마시고 잔 경우 201분이었고, 술을 마시지 않은 경우는 173분이었다. 대기압 조건에서는 음주 유무와 상관없이 90%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고도가 상승하면 기압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건강한 사람도 산소포화도가 감소할 수 있다며, 산소포화도가 90% 밑으로 내려가면 저기압성 저산소증(hypobaric hypoxia)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팀은 참가자가 젊고 건강하며 일등석처럼 누운 자세로 잠을 잤다는 점에서 일반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도, 알코올 섭취와 저산소 상태에서의 수면이 심장 시스템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또 고령 승객과 기저질환이 있는 승객은 알코올 섭취량이 많을수록 이런 영향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며, 장거리 항공편에서 알코올 제공이나 섭취를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6-05 15:58:00 수정 2024-06-05 15:58:00

#비행기 , #음주 , #심장건강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