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위에 생긴 용종, 가스로 지지는 방법도 있어…어떻게?

입력 2024-06-12 21:15:55 수정 2024-06-12 21:15:55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내장기관 중 위 선종 크기가 1cm 미만이면 가스로 조직을 소작하는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안지용, 울산대병원 소화기내과 왕호영 교수팀은 지난 2007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저등급 이형성증 위 선종 환자 618명에게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을 시행하고, 평균 30개월 추적 관찰해 재발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병변 크기가 1cm 미만의 위 선종은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 시행 후 재발률이 2.6%로 나타나 기존의 내시경 절제술과 치료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위 점막에 발생하는 위 선종은 분화도에 따라 저등급 이형성증과 고등급 이형성증으로 나뉜다. 저등급 이형성증의 경우 약 20%에서 위암으로 진행되며, 고등급 이형성증의 경우 50%에서 위암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선종은 '암의 전 단계'로 여겨진다.

기존에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이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등 내시경 수술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주목받았지만, 출혈이나 천공과 같은 합병증 위험이 있어 환자 상태나 병변에 따라 시행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 가운데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은 아르곤 가스가 조직에 닿는 순간 전기적 에너지가 전달돼 위장관의 비정상 조직을 소작시켜 치료하는 기술로, 절개나 절삭 없이 치료가 가능해 출혈 등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치료법으로 알려졌다.

다만 병변 깊이 예측이 불가능하고 조직을 떼어내지 않다 보니 재발 위험이 높다는 인식이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위 선종의 병변 크기가 작은 경우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 재발률이 낮아 충분히 효과적인 치료법임이 입증됐다.

반면 병변이 1cm 이상인 경우에는 재발률 9.5%로 급격히 증가해 위 선종 크기에 따라 신중한 치료방법 결정과 밀접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지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재발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의 위 선종 치료 효과를 증명한 것으로, 특히 작은 병변에서 높은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은 내시경 박리술보다 치료 시간이 짧고 출혈 등 합병증 가능성이 적어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게 저위험, 비침습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4-06-12 21:15:55 수정 2024-06-12 21:15:55

#아르곤 플라즈마 , #내시경 점막하 , #선종 치료 , #위선종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