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배춧값 인상 막아라"...정부, 2만3천t 비축한다

입력 2024-06-25 09:48:32 수정 2024-06-25 09:49:00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정부가 매년 반복된 여름철 배추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최대 물량을 비축하는 등 강력한 대책을 마련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여름철 배추 수급 불안에 대비해 봄배추 1만t(톤)을 비축하고 여름 배추 계약 재배 물량을 1만3천t으로 확대한다고 25일 밝혔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에 대해 "봄배추 비축 물량 1만t과 계약 재배 물량 1만3천t을 합친 2만3천t은 역대 최고 비축량"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여름철 발생할 수 있는 기상 재해에 대비해 배추 예비묘 200만주를 준비하기로 했고, 김치협회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봄배추를 많이 매입해 농가를 돕고 여름철 공급 부족에 대비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배추 소매가격은 포기당 3천479원으로 한 달 전에 비해 2.9% 내렸고 1년 전보다 11.2% 저렴하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폭우, 폭염 등 기후 상황으로 배추 재배가 어려워져 생산량이 줄고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도 여름배추 재배 면적은 평년보다 5%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배추 생산량이 감소할 전망이다.

여름철 배추 가격이 크게 오르는 현상은 매년 반복되고 있다.

작년 8월에는 폭염 등으로 배추 출하량이 급감해 한 달 새 도매가격이 2.5배 뛰었고,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축해 둔 배추 물량을 1일 평균 300t 이상 방출했다.

2022년에는 여름철 폭염과 폭우, 그리고 9월 초 발생한 태풍 '힌남노'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배추 수급이 불안해졌고, 김치업체들은 품질 기준에 맞는 배추를 구하지 못해 김치 제조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더해 포장김치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상, CJ제일제당 등 식품사 온라인몰에서 파는 김치 제품이 동나기도 했다.

올해 일찌감치 찾아온 폭염과 이른 장마로 일부 채소 가격은 이미 상승하고 있다.

시금치 소매가격은 전날 100g당 829원, 적상추는 100g에 926원으로 한 달 전보다 각각 18.6%, 12.8% 상승했다.

당근은 공급이 줄어들면서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소매가로 1kg에 5천945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한 달 전보다 30.9%, 1년 전보다 33.8% 오른 가격이다.

마트 할인 등이 반영되지 않은 중도매인 판매가격 상승률은 소매가격보다 높다. 시금치(4㎏), 적상추(4㎏)의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한 달 새 각각 44.2%, 65.2% 올랐고, 당근(20㎏) 판매가격은 한 달 새 57.0% 올라 1년 전의 2배 수준이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4-06-25 09:48:32 수정 2024-06-25 09:49:00

#배추 , #농산물 , #물가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