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스톡
국내에서 영양섭취가 부족한 사례가 지난 10년간 2.1배 늘었다.
질병관리청은 ‘2023 국민건강통계’를 통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세 이상 국민 가운데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이 17.9%라고 밝혔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매년 국민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통계조사다. 식품 섭취량 조사는 조사 2일 전 하루 동안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영양섭취 부족자는 ▲에너지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따른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래빈의 섭취량이 모두 평균 필요량 미만인 경우가 해당한다.
2014∼2023년 조사에 따르면 국민 중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은 2014년 8.4%에서 점차 늘어나서 10년간 2.1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특히 2023년 기준으로 남성 10대(23.5%)와 여성 20대(25.6%)가 4명 중 1명꼴로 영양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하’ 그룹의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이 21.0%로 ‘상’ 그룹 14.6%보다 높았다.
영양소별로는 에너지의 경우 부족하게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2014년 28.5%에서 2023년 36.8%로 늘었다. 실제로 1세 이상 국민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은 2014년의 2067.6㎉에서 2023년 1862.1㎉로 200㎉ 가까이 감소했다.
칼슘과 비타민A 섭취가 부족한 사람은 2023년 기준으로 각각 71.0%, 72.4%로 높았다. 철은 56.4%, 리보플래빈은 27.9%가 부족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5-01-31 13:08:31
수정 2025-01-31 1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