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스톡
오는 12일 정월대보름에는 오후 10시 53분에 가장 둥근달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5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을사년 정월대보름 달이 뜨는 시각은 서울 기준 오후 5시 46분이다.
지구를 기준으로 달과 태양이 정반대편에 일직선상으로 위치해 완전히 둥근 '망'(望)이 되는 시각은 오후 10시 53분이다.
가장 높이 뜨는 시각은 13일 0시 54분이다.
주요 도시에서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은 ▲서울(오후 5시46분, 13일 오전 7시51분), 인천(오후 5시47분, 13일 오전 7시52분) ▲대전(오후 5시47분, 13일 오전 7시47분) ▲대구(오후 5시43분, 13일 오전 7시42분) ▲광주(오후 5시51분, 13일 오전 7시48분) ▲부산(오후 5시42분, 13일 오전 7시39분) ▲울산(오후 5시40분, 13일 오전 7시38분) ▲세종(오후 5시47분, 13일 오전 7시48분)이다.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은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달 윗부분이 지평선(수평선) 상에 보이거나 사라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해발고도와 지형, 공기 밀도, 온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월대보름이나 한가위 보름달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타원궤도를 도는 달이 근지점을 통과할 때 달이 더 커 보이며, 원지점을 통과할 때 작게 보인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