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502/BD.39511582.1.jpg)
shutterstock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 등 디지털 약자를 현장에서 도와주는 '디지털 안내사'가 올해도 서울시에 투입된다.
서울시 시청에서 14일 올해 상반기 '디지털 안내사' 위촉식과 발대식이 열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디지털 안내사들에게 '디지털 안내사 신분증'을 목에 걸어주고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또 지난해 디지털 안내사의 활동 성과와 경험을 얘기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디지털 안내사는 서울 곳곳에서 어르신 등 디지털 약자들이 겪는 불편을 즉시 해소해 주는 사업으로, 2022년 하반기부터 활동을 시작해 작년까지 총 690명이 어르신 56만여명의 키오스크 공포를 해소하는 해결사로 활약했다.
안내사로부터 도움을 받은 시민은 60대 이상이 90% 이상으로, 연령대별로 80대 21%, 70대 50%, 60대 20%다. 상담 장소는 주로 지하철역(39%)과 관공서 등 복지시설(33%)이었다.
시민 만족도는 98%에 달했고, 대부분의 어르신은 키오스크 공포감이 사라졌다는 것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올해 상반기 디지털 안내사로 활동할 인원은 125명으로 2.2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됐다. 최연소자는 23세, 최연장자는 79세다.
이들은 주황색 조끼를 입고 두세 사람이 한 조를 이뤄 총 50개 노선을 따라 순회한다. 지하철역, 복지시설, 공원 등 250여곳에서 기차표 예매, 길 찾기, 택시 호출 등 앱과 키오스크 사용, SNS 활용 등을 돕는다.
시는 올해 30만명 이상을 돕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선발된 디지털 안내사는 10일간 전문교육을 받았다.
올해는 사업 효과를 높이고자 고령층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을 분석하고 12개 노선을 새로 추가했다.
오 시장은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시민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디지털 안내사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