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청소년들이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은 하루 10시간 안팎으로, 이 중 학습 이외 목적으로 앉아 있는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펴낸 '학교 기반의 청소년 비만 예방정책 개선 방향 연구:신체활동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중·고교생이 하루 동안 앉아서 보낸 시간은 2023년 기준으로 주중에 11.02시간, 주말 9.21시간이었다. 2017년에는 주중 10.19시간, 주말 8.45시간이었다.
이처럼 학생들이 앉아서 하루를 보내는 시간은 점차 길어지고 있다. 특히 학습 목적으로 앉아 있는 시간은 6년 새 소폭 감소했지만, 학습 이외 목적으로 앉아 있는 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에는 학습 목적으로 평일엔 하루 평균 7.64시간, 주말엔 하루 평균 3.92시간을 앉아서 지냈는데, 2023년엔 각각 7.59시간, 3.84시간으로 줄었다.
학습 이외의 목적으로 하루 평균 앉아서 보낸 시간은 2017년 평일과 주말이 2.55시간, 4.53시간이었다. 하지만 2023년에는 각각 3.44시간, 5.37시간으로 길어졌다.
주말에 학습 이외의 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코로나19 대유행 당시보다도 더 길어졌다. 2020년에는 5.48시간, 2021년에는 5.32시간이었다.
연구팀은 "학습 이외 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2020년에 크게 증가했고 2023년까지도 증가한 수치가 유지되고 있다"며 "청소년의 여가 시간이 좌식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청소년에게 매일 1시간 이상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 중고교생의 신체활동은 턱없이 부족했다. 주 5일 이상 하루 60분가량 숨이 찰 정도의 신체활동을 한다고 답한 비율은 2023년 17.1%에 그쳤는데, 이는 2017년 13.8%에서 그나마 증가한 수치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