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Economy

"자동차 안 산다" 팍팍해진 가계 소비, 그나마 지갑 열린 곳은...

입력 2025-02-27 16:22:09 수정 2025-02-27 16:22:09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작년 4분기 가계소득이 6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소비지출 증가 폭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심리 위축으로 자동차 등 큰 규모의 지출이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27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이하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당 소득은 521만 5천원으로 전년보다 3.8% 늘었다. 소득은 2023년 2분기 0.8% 감소한 이후 6분기 연속 증가세다.

근로소득은 324만1천원으로 2.3%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109만 1천원 5.5%, 이전소득은 70만 9천원으로 5.6% 각각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2.2%로 지난해 2분기(0.8%) 이후 3분기 연속 증가했다.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2020년 4분기(-2.3%) 감소한 후 16분기 연속 증가해, 작년 동기보다 2.5% 늘어난 290만 3천원을 기록했다. 다만 증가 폭은 코로나19 사태 중이던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소비가 증가한 분야는 주거·수도·광열(7.6%), 음식·숙박(5.1%), 오락문화(11.1%), 보건(6.2%) 등이다.

주거·수도·광열은 월세 거래량이 늘고 가격지수도 오르면서 주거비 상승률이 12.9%로 4분기 기준으로 2020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풀이했다. 음식·숙박은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면서 지출 규모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교통(-9.6%)에서는 큰 폭으로 줄었다. 자동차 구입이 1년 전보다 29.0% 줄어든 영향이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3.7%), 통신(-2.4%) 등에서도 감소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 증가한 420만7천원을,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30만 5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7.8% 각각 증가했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돈을 번 것보다 덜 썼다는 의미"라며 "지난해 12월 사회적 불확실성도 일부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전년보다 3.5% 늘어난 289만원을 기록했다. 음식·숙박(5.2%), 주거·수도·광열(6.5%), 오락·문화(7.9%), 식료품·비주류음료(3.8%) 등에서 늘었다.

정부는 "가계소득 증가 흐름이 이어지도록 일자리 창출과 물가 안정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2-27 16:22:09 수정 2025-02-27 16:22:09

#소비 , #소비심리 , #소득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