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과체중 아동·청소년이 음식 중독 증세가 심한 경우, 감정과 행동 조절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한림대 가정의학과 박경희 교수 연구팀은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으로 밝혀낸 이같은 연구 결과를 최근 영양 및 건강 분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가 상위 15% 이내인 과체중 이상 아동·청소년 224명(평균 연령 11.4세)을 대상으로 음식 중독과 정서·행동 문제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음식 중독이란 특정 음식에 대해 강한 욕구를 느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먹게 되는 현상을 뜻한다.
연구에 따르면 전체 연구대상자 중 44명(19.6%)이 음식 중독 고위험군에 속했다. 음식 중독 고위험군의 평균 음식 중독 증상 수는 4.05개였고, 정상군은 1.31개였다.
음식 중독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아동들은 정상군 아동보다 비만 정도가 높았고, 자존감이 낮았다. 가족 간의 정서적 교류나 지지 등 가족 기능도 떨어졌다.
또한 음식 중독 증상이 많을수록 불안이나 우울 등 감정 문제나 충동적 행동 문제가 심화하고, 학업 수행 능력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아동·청소년 비만은 성인기까지 이어져 심혈관질환 등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음식 중독은 단순한 식습관이 아니라 비만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며 "음식 중독에 대한 세심한 이해와 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