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코로나19 펜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 2년간 서울에서 사라진 치킨집, 호프집, 분식집은 3000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서울시는 코로나19가 상권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7~2022년 사업체 조사를 토대로 20개 생활 밀접 업종 변화를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치킨집, 호프집, 분식집 수가 다른 업종에 비해 대폭 감소했다.
생활 밀접 업종은 한식 음식점, 부동산중개업, 일반의류, 커피 음료점, 미용실, 일반 교습학원, 호프·간이주점, 분식, 편의점, 화장품, 의원, 예술학원, 의약품, 스포츠 강습, 양식 음식점, 슈퍼마켓, 육류판매, 컴퓨터·주병장치 판매, 세탁소, 치킨전문점이다.
2022년 기준 서울 호프·간이주점은 1만4천626개로 2020년 1만6천350개 대비 1천724개 줄었고, 분식집은 2020년 대비 959개 줄어든 1만454개, 치킨집은 393개 감소한 5천711개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이후 2년 새 호프집, 치킨집, 분식집이 3천76개 줄어든 것이다.
새로 창업하는 업소까지 생각하면 실제로 폐업한 곳은 이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의류점은 2020년 대비 7천42개 줄어든 2만8천649개로 조사됐고, 편의점도 점포가 108개 줄었다. 편의점은 2020년 서울에 총 1만97개였지만 2021년 9천752개로 줄었고, 2022년 9천989개로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2020년보다는 적다.
화장품점, 슈퍼마켓, 컴퓨터·부품 판매점도 줄었다. 반대로 2022년 기준 커피 음료점은 총 2만2천135개로 2020년 대비 452개 늘었다. 카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마포구 연남동(137개↑) 이었다. 스포츠 강습소도 1천26개 늘었고 일반 의원도 509개 증가했다.
2022년 기준 20대 생활 밀접 업종 사업체 수는 총 27만7천589개로, 한식 음식점이 4만7천17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동산중개업(3만3개), 일반의류(2만8천649개), 커피 음료점(2만2천135개) 순이었다.
업체별 영업 기간을 살펴보면 양식음식점(3.7년)이 가장 짧고 커피(3.8년), 스포츠 강습(5.1년), 치킨전문점(5.2년), 편의점(5.3년) 순으로 길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