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치주질환 치은염→치주염 악화할 때 나타나는 신호는?

입력 2025-03-25 11:40:24 수정 2025-03-25 11:40:24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셔터스톡


양치질을 대충 하거나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지 않으면 잇몸병, 즉 치주 질환이 찾아올 가능성이 커진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치은과 치주인대, 치조골 등 치아 주변 조직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흔히 '풍치'라고도 한다.


치주질환은 진행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한다. 가벼운 형태인 치은염은 잇몸에 국한된 염증 상태를 의미한다. 염증이 잇몸뼈까지 확산되면 치주염으로 발전한다.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은 치아 표면에 형성되는 플라크(세균막)다. 플라크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면 단단한 치석으로 변해 잇몸 염증을 유발한다. 치아와 잇몸 사이에는 치은열구라는 좁은 틈이 있다.

플라크와 치석이 이 틈을 따라 침투하면서 염증이 심화된다. 염증이 잇몸뼈까지 진행되면 치주낭이 형성되고 치조골이 소실돼 치아가 흔들리거나 발치해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 또한 당뇨병, 임신, 영양 부족, 흡연 등의 요인도 치주질환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권소연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치과 교수는 '치주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잇몸 출혈과 붓기다"며 "양치질할 때 피가 나거나 잇몸이 붓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치은염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서 치주염으로 발전하면 지속적인 구취, 잇몸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 치아 흔들림이 동반될 수 있고, 심하면 씹을 때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잇몸병이 진행될수록 치주낭이 깊어지고 치조골 손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방치하면 치아 상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진단은 치주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치주낭의 깊이와 치조골의 상태를 확인해 질환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미생물 검사, 면역 검사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치료는 세균성 플라크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기본이다.

권소연 교수는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구강 관리가 필수다. 식사 후와 취침 전 꼼꼼한 양치질을 습관화하고 치실과 치간 칫솔을 활용해 치아 사이사이를 깨끗이 관리해야 한다"며 "치주질환은 한 번 진행되면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스케일링을 통해 플라크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입력 2025-03-25 11:40:24 수정 2025-03-25 11:40:24

#잇몸 염증 , #세균성 플라크 , #치주 검사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