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Economy

"겨울·봄옷 덜 사고 외식 줄였다"...내수 부진에 '작은 소비' 뚝

입력 2025-04-01 08:43:47 수정 2025-04-01 10:59:59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옷, 신발, 음식료품 등 '작은 소비'가 줄고, 추위와 정국 불안으로 공연 관람, 외식·나들이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준내구재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전월 대비 1.7% 줄었고, 비내구재의 소매판매액 지수도 2.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액 총지수가 1.5% 증가한 것과 대조된다.

준내구재에는 예상 사용수명이 1년 내외인 의류, 신발, 소형가전 등이, 비내구재엔 그보다 짧은 음식료품, 수도, 휘발유 등의 재화가 포함된다.

준내구재·비내구재 소비는 작년 12월 1.0%, 1.5% 각각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올해 1월부터 두 달째 감소했다. 내수 경기 부진에 탄핵 사태 등 정치적 불안이 더해지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자 가계가 소소한 '작은 소비'까지 줄인 것으로 분석된다.

준내구재 중에서는 의복이 1.7%, 신발 및 가방이 8.7% 줄었다. 2월 내내 평균보다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겨울옷과 봄옷을 덜 구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오락·취미·경기용품 소비도 6.5% 감소했다. 2013년 12월(-10.3%) 이후 11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추위로 인해 공연장을 찾는 이들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비내구재 가운데서는 음식료품 소비가 6.3% 줄었다.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세이고, 감소율은 지난해 2월(-6.6%) 이후 1년 만에 가장 컸다.

의약품과 화장품은 각각 0.4%, 0.8% 줄었고 차량 연료는 1.0% 감소했다. 내구재인 승용차 판매는 보조금 집행 영향으로 잠깐 반등(13.5%)했지만, 2월에도 '덜 쓰는' 소비 부진이 계속된 것이다.

서비스업의 생산 감소세도 두드러졌다. 외식·나들이가 줄어들면서 2월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은 3.0% 줄어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나타냈고, 도매 및 소매업은 6.5% 증가했지만 여기엔 전달 4.1% 감소했던 기저효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밖에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9.6%), 정보통신업(-3.9%), 운수 및 창고업(-0.5%) 생산도 전월 대비 감소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입력 2025-04-01 08:43:47 수정 2025-04-01 10:59:59

#소비 , #추위 , #외식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