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대위원 회의에서 발언하는 권영세 비대위원장 /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주 4.5일제'를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에 반영하고,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14일 밝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당 비대위 회의에서 "유연 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 근무를 정책으로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법정근로시간 40시간을 유지하되, 유연근무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주 4.5일제 도입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그 예시로 울산 중구청을 언급했다. 이곳은 주 40시간 근무시간을 유지하면서 금요일 오후에 쉬는 유연 근무제를 활용해 주 4.5일제를 시행하고 있다.
권 위원장은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며 "이는 기존 주5일 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라는 실질적인 워라밸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주 5일제와 주 4.5일제에 대해 "근로시간 자체를 줄이고 받는 비용을 유지하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고 지적하며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비판했다.
권 위원장은 "근로시간을 줄이면 급여도 줄어드는 것이 상식이라는 비판에 민주당은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주 52시간 근로제 폐지도 추진할 방침이다.
권 위원장은 "주 4.5일제 도입 검토와 함께 업종과 직무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연한 근무를 방해하는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산업 현장에서는 일이 몰릴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반대로 일이 적을 때 충분히 쉴 수 있는 유연한 근무 환경이 필요하다"며 "주 52시간 근로제는 시대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 제도로 유연한 근로 문화 구축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짚었다.
권 위원장은 "유연 근무제를 적극 활용해 다양한 근무 형태가 가능한 선진형 근로 문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 분야를 면밀히 분석한 뒤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