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로 만든 지브리풍 이미지(한국저작권위원회 제공) / 연합뉴스
일반 사진을 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꿔주는 오픈AI의 기능이 인기를 끄는 가운데, 세대별로 이를 활용하는 방식에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일 '미디어 서베이' 최신호에 실은 생성형 AI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성형 AI 국내 사용자의 59.5%는 생성형 AI를 이용해 사진을 이미지로 변환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해 본 이들 중 절반 이상(52.4%)은 해당 이미지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또는 메신저 프로필로 활용하거나 지인에게 공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답했고, 30.9%는 변환 후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했다고 밝혔다.
SNS나 메신저 프로필로 사용한 이들의 연령대 별 비율을 살펴본 결과, 60대가 32.8%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19.6%로 가장 낮았다. 반대로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하는 비율은 20대가 37.7%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0.7%로 가장 낮았다.
다만 이는 생성형 AI의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한 이들로 모집단을 한정해 도출한 결과다.
생성형 AI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각 연령대 전체를 모집단으로 가정하고 생성형 AI가 변환한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쓴 이들의 비율을 살펴보면 20대가 1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16.3%, 40대 10.7%, 50대 6.5%, 60대 3.4% 순이었다.
생성형 AI 사용자에게 용도(복수응답)를 물었더니 정보 검색이 81%, 글쓰기 및 다듬기가 51.1%, 사진·이미지 생성 및 보정이 51.0%, 외국어 번역 42.1% 등으로 나타났다.
글을 쓰거나 다듬는 데 AI를 사용한다고 답한 이들 중에서는 20대가 68.3%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 60.0%, 40대 48.3%, 50대 37.6%, 60대 29.3% 순으로 많았다.
글쓰기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비율이 저연령층에서 높은 것에 대해 "글쓰기 과정에 대한 부담감 증가 또는 문해력 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언론진흥재단은 설명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달 17∼21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