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10대 후반부터 20대 사이에 체중이 늘어 비만이 되면 중년기에 비만이 되는 것보다 훨씬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열린 유럽비만학회 총회에서 스웨덴 룬드대학교 연구팀은 스웨덴 성인(17세~60세) 약 62만명(남성 26만명, 여성 36만명)을 대상으로 체중 변화 추이와 사망률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30세 이전에 비만이 될 경우 조기 사망 위험이 남녀 각각 79%, 8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30~45세에 비만이 된 경우에는 52%, 45~60세에 비만이 된 경우에는 25% 증가하는데 그쳤다. 30세 이전 비만이 된 이들의 사망 위험이 가장 높았던 것이다.
연구팀은 "17세부터 29세까지가 '핵심적 생애 단계"라며 "이 기간 체중이 증가할수록 조기 사망 위험이 가파르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시기 체중 증가는 제2형 당뇨병, 암, 심장병 등 만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연구를 주도한 타냐 스톡스 교수는 "젊은 시절 체중이 늘어나면 과도한 지방에 장기간 누적적으로 노출된다"며 "20대에 조금만 체중이 증가하더라도 체중 증가 상태가 몇 년간 지속되면 조기 사망 위험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