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 저하되는 환절기엔 대상포진 특히 조심! 예방책은?
환절기에 조심해야 할 질환 중 하나가 대상포진이다.대상포진은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으로 어릴 때 수두를 앓고 나면 이 바이러스가 신경세포에 잠복하게 된다. 이후 나이가 들어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면 활동을 재개해 신경절과 신경을 따라 주변으로 퍼지면서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대개 60대 이상의 고령자에게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면역기능이 떨어진 경우에는 젊은층에서도 발생이 잦은 편이다.대상포진의 첫 증상은 몸살감기와 비슷한 발열, 피로감과 함께 나타나는 통증이다. 이때는 대상포진의 특징적인 피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다른 질병으로 오해하기 쉽다.이후 신경 줄기를 따라 붉은 발진과 물집이 형성되는데, 증상이 한쪽으로 치우쳐 발생하면서 화끈거리거나 가렵고,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이 동반하는 게 일반적이다. 또한 스치기만 해도 아플 정도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물집은 약 2주 정도 지나면 딱지가 생기면서 좋아진다.하지만 이때 치료가 늦어지면 대상포진성 통증은 수주에서 수년간 계속되거나 더 악화할 수도 있다.대상포진이 생겼다면 조기에 알아채고 병원을 찾아 치료받는 게 바람직하다.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면 대상포진성 통증과 신경 손상을 줄일 수 있다.대상포진을 예방하려면 현재로서는 백신을 접종하는 게 최선이다. 접종 연령은 50대 이상이 권고된다. 다만 대상포진은 아직 국가 예방접종에 포함되지 않아 백신 접종 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평소 생활 습관도 중요하여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수면이 대상포진 예방에 도움이 된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3-23 19:42:56
오는 4월 영유아 폐렴구균 15가 백신접종 시행
정부가 국가 예방접종을 확대하고 운영도 고도화한다.질병관리청은 19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24년 주요 정책 계획을 발표했다.이에 따라 영유아의 폐렴구균 15가 백신(PCV15가) 접종을 올해 4월 시행하고 인플루엔자(만성질환자 대상), 대상포진.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등 도입 타당성이 검증된 예방접종 항목의 확대를 검토한다.또한 국가예방접종체계 안정화 및 피해보상제도 개선 등을 위해 가칭 '예방접종관리법'의 제정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대규모 접종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차세대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계획도 수립할 예정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굉장히 커졌다"며 "예방접종관리법을 통해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접종 체계를 정비하고 예방접종 피해 보상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도 같이 마련하려고 한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2-19 15:0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