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부족 한국인 10년간 2배 늘어
국내에서 영양섭취가 부족한 사례가 지난 10년간 2.1배 늘었다. 질병관리청은 ‘2023 국민건강통계’를 통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세 이상 국민 가운데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이 17.9%라고 밝혔다.국민건강영양조사는 매년 국민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통계조사다. 식품 섭취량 조사는 조사 2일 전 하루 동안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영양섭취 부족자는 ▲에너지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따른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래빈의 섭취량이 모두 평균 필요량 미만인 경우가 해당한다.2014∼2023년 조사에 따르면 국민 중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은 2014년 8.4%에서 점차 늘어나서 10년간 2.1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특히 2023년 기준으로 남성 10대(23.5%)와 여성 20대(25.6%)가 4명 중 1명꼴로 영양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소득 수준별로 보면 ‘하’ 그룹의 영양섭취 부족자 비율이 21.0%로 ‘상’ 그룹 14.6%보다 높았다.영양소별로는 에너지의 경우 부족하게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2014년 28.5%에서 2023년 36.8%로 늘었다. 실제로 1세 이상 국민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은 2014년의 2067.6㎉에서 2023년 1862.1㎉로 200㎉ 가까이 감소했다.칼슘과 비타민A 섭취가 부족한 사람은 2023년 기준으로 각각 71.0%, 72.4%로 높았다. 철은 56.4%, 리보플래빈은 27.9%가 부족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31 13:08:31
삼시두끼보다 삼시세끼가 덜 살 쪄
하루 세 끼를 먹는 남성보다 두 끼 먹는 남성의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이 한국교원대학교와 함께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20년) 자료를 활용해 식사 방식과 만성질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자료는 질병관리청이 작성한다. 이번 연구는 식사량이나 질만큼 식 행동도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임을 밝히기 위해 하루 끼니 횟수, 결식유형, 야간 공복 시간과 식사 시간 등 식 행동이 대사증후군, 당뇨 등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국가 보건의료 자료를 분석해 확인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하루 세 끼 먹는 남성보다 두 끼를 먹는 남성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1.16배 증가했다. 대사 증후군 주요 인자 중 하나인 복부비만은 1.21배(21%) 늘었다. 두 끼를 먹는 경우 점심 또는 저녁을 굶었을 때보다 아침을 굶었을 때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1.22배 높았고 특히 복부비만은 1.28배가, 이상지질혈증은 1.20배 위험률이 높았다. 여성도 아침을 굶었을 때 고혈당 장애는 1.18배, 이상지질혈증은 1.19배, 저HDL 콜레스테롤혈증은 1.14배 위험이 늘었다. 끼니별 에너지 섭취 비율의 경우 저녁식사인 오후 6시시부터 9시까지가 40% 이상일 때 당뇨 위험이 1.36배 높아졌다. 오후 9시 이후 야간 식사의 에너지 섭취 비율은 25% 이상이면 여성에서만 당뇨 위험이 1.61배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5-15 11:17:40
19세 이상 남자 절반이 '이것'
지난 10년 동안 성인 남자, 중고등학생 모두 비만 유병률이 증가했다는 내용의 통계가 작성됐다. 특히 19세 이상 남자의 경우 2명 중 1명 가까이 비만 증상을 보였다. 질병관리청이 오는 4일 '세계 비만의 날'에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국내 19세 이상 여자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7% 내외였다. 하지만 남자는 지난 2011년 35.1%에서 2021년 46.3%로 급증했다. 또한 중·고등학생의 경우 남학생, 여학생 모두 비만 유병률이 2.4배였다. 2021년을 기준으로 남학생은 17.5%로 지난 2011년 6.8% 대비 2.6배, 여학생은 9.1%로 2011년 4.2% 대비 2.2배 각각 증가했다. 정부는 비만을 여러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지목하며 "비만을 예방해야 만성질환도 예방한다"고 강조했다. 최홍석 질병청 만성질환관리국장은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부터 비만 유병률 증가를 멈춰세울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함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3-03 14:2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