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 좋은 꽃향기' 과다 노출되면 신경계에 이런 영향이?
식물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롤'에 과다 노출되면 신경계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시트로넬롤은 장미,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에서 추출한 천연 향료 성분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안전한 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아로마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독성 연구는 거의 없다.배명애 한국화학연구원 박사와 고려대 박해철·김수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종간 교차 동물실험 연구와 신경계 대사체 분석기술을 통해 시트로넬롤에 고농도로 노출될 경우 독성으로 인한 신경·행동학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다.우선 제브라피시(사람과 유전체 구조가 비슷한 열대어)와 쥐를 이용, 향기 성분이 체내로 흡수된 뒤 뇌로 전달되는지 여부와 그로 인한 뇌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실험 결과 시트로넬롤이 혈액-뇌 장벽(BBB·유해물질이 혈액에서 뇌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보호막)을 통과해 뇌에 도달한 뒤 암과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종을 생성하고 염증 신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함께 면역세포 활성화로 신경 염증(신경세포 손상과 뇌 기능 저하)을 유발하고 혈액-뇌 장벽을 손상하는 모습이 관찰됐다.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트로넬롤을 화장품 알레르기 유발 가능 물질로 지정, 유럽연합(EU)처럼 일정 농도 이상 함유될 경우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배명애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시트로넬롤과 같은 향료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3-30 16:50:09
제주서 독성 강한 '파란고리문어' 발견..."청산가리의 10배"
제주 앞바다에서 청산가리보다 10배 이상 강력한 독성을 지닌 파란고리문어가 발견됐다.제주해양경찰서에 따르면, 1일 오후 4시께 제주시 구좌읍 코난해변 인근 해상에서 파란고리문어를 발견했다는 관광객 신고가 들어왔다.이 관광객은 물놀이를 하던 중 특이한 무늬를 지닌 문어를 발견하고, 플라스틱 통을 사용해 잡고 해경에 신고했다.현장에 도착한 해경은 이 문어가 파란고리문어임을 확인해 신고자로부터 넘겨받아 국립수산과학원에 전달했다.해경은 2일 "파란고리문어는 독성이 매우 강해 물리거나 쏘이게 되면 신체 마비나 호흡곤란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해수욕이나 해루질 중에 발견하면 절대 만지지 말고 해경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8-02 11:23:45
"낙동강·금강 근처 쌀·배추, 독성물질 나왔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녹조로 뒤덮인 낙동강·금강 주변에서 자란 농작물에서 남세균 독성물질이 검출됐다고 한 시민단체가 주장했다.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11월 낙동강 중·하류와 금강 하류 인근 농지에서 수확한 쌀과 무·배추 등에 남세균 생성 생물독소 '마이크로시스틴(micorcystin) 등을 검출한 결과를 발표했다.남세균의 여러 독소 중 하나인 마이크로시스틴은 청산가리의 100배에 달하는 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간 질환·위장염·근 위축성 측삭경화증과 같은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조사 결과 쌀 1㎏에서는 1.3㎍, 무에서는 1.85㎍, 배추에서는 1.1㎍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성인의 하루 쌀 및 무·배추 섭취량으로 환산할 경우, 체중 60㎏의 성인은 하루 0.685㎍/㎏의 마이크로시스틴을 섭취하는 셈이다.환경운동연합은 "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환경보호국 환경건강위험평가소(OEHHA)의 생식독성 기준(0.108㎍/㎏)을 6.3배 초과하는 것이고, 프랑스 식품환경노동위생안전청(ANSES)의 기준(0.06㎍/㎏)은 11.4배 초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단체는 "물속 고농도 남세균 독성이 주변 농작물에 축적되는 경향성이 이번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며 "정부는 남세균 독성 관련 위험평가 등에 소홀했고 그에 따른 피해는 결국 국민이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우리는 역사를 통해 강이 지속가능하지 않을 때 사람도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국민건강과 직결된 강 자연성 회복은 국민 안전 문제라는 점을 망각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2022-02-11 14:51:04
소라 독성 강해지는 가을철, 조리법 준수해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가을척 소라독으로 인한 식중독 예방을 위해 타액선 및 내장 제거 등 조리법을 준수하며 섭취해야 한다고 28일 밝혔다. 일부 육식성 권패류의 타액선(침샘)과 내장에는 자연독소인 테트라민(Tetramine)이 함유되어 있어, 제거하지 않고 섭취할 경우 식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테트라민을 섭취할 경우 섭취 30분 정도 후에 두통이나 멀미, 구토, 설사,시각장애 등의 식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즉시 인근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테트라민은 가열해도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삐뚤이소라(갈색띠매물고둥), 털골뱅이류, 전복소라(관절매물고둥), 참소라(피뿔고둥) 등 독성이 있는 권패류는 조리 시 반드시 독소가 있는 타액선(침샘)을 제거해야 하며, 섭취 시에도 타액선 제거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식약처는 "소라독으로 인해 발생하는 식중독은 타액선과 내장을 제거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다"면서 올바른 손질법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0-10-29 09:3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