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 난자, 출산 성공률 높지 않다"
난자를 미리 채취해 동결 보존했다가 나중 해동 후 자궁에 이식, 임신할 경우 출산 성공률이 그리 높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28일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에 따르면 미국 뉴욕 대학 난임 치료 센터(Fertility Center)의 제임스 그리포 박사 연구팀은 동결 난자를 이용한 출산 성공률은 전체적으로 약 39%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다만 젊었을 때 난자를 동결 보존했거나 동결 보존된 난자 수가 많으면 출산 성공률이 높아진다고 연구팀은 전했다.38세 이하 여성이 동결 난자로 체외수정을 통해 임신한 경우는 출산 성공률이 51%였다.또 38세 이하 여성이 동결 보존한 난자 20개 이상을 갖고 있는 경우 출산 성공률이 70%까지 올라갔다.난자의 첫 동결 보존 시기는 평균 38.3세, 첫 동결 보존에서 해동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4.2년이었다.이 연구 결과는 '임신과 불임'(Fertility and Sterility) 최신호에 게재됐다.한편 보조 생식술 학회(SART: Society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에 따르면 2020년에 약 1만2천400명의 건강한 여성이 난자를 동결 보존했는데, 이는 2016년 7천200명 미만이었던 데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미국의 주요 보조생식술 클리닉 중 하나인 CCRM(Center for Reproductive Medicine) 원장 티머시 히크먼 박사에 따르면 난자 채취 사이클 한 번에 드는 비용은 약 1만 달러이다. 충분한 난자를 얻으려면 한 번 이상의 사이클이 필요하다.동결 난자를 보관하는 비용은 연 최대 1천 달러, 해동한 동결 난자를 이용해 체외수정으로 배아를 만들어 시험관 배양, 자궁에 이식하는 데는 5천~7천 달러의 비용이 든다.이에 더해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려면 추가로 3천 달러를 지불해야 한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
2022-09-29 11:29:02
체외수정 아이, 자연임신 아이보다 작을까?
체외수정을 비롯한 보조 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출생 직후 신장과 체중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성장 과정에서 점차 격차가 줄어들고 17세가 되면 거의 차이가 없거나 앞지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보조 생식술은 체외수정 외에도 난자에 정자를 직접 주입하는 '난자 내 정자 주입술(ICSI: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등이 있다.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브리스톨 대학 의대의 아메드 엘하켐 역학 교수 연구팀은 1984~2018년 영국 등 유럽 국가들과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중국, 싱가포르에서 보조 생식술 또는 자연 임신으로 태어난 15만8천66명의 연령별 자료를 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추적했다.그 결과 신장, 체중, 체질량 모두 출생 직후에는 보조 생식술 아이들이 자연 임신 아이들보다 조금씩 낮았지만 17세가 되었을 때는 거의 같거나 앞질렀다.신장은 출생 후 3개월에는 보조 생식술 아이들이 자연 임신 아이들보다 평균 0.27cm 짧았지만 17세가 되었을 때는 차이가 0.06cm로 줄어들어 거의 같았고, 체중은 출생 후 3개월에는 보조 생식술 아이들이 자연 임신 아이들보다 평균 0.27kg 모자랐지만 17세가 되었을 때는 오히려 평균 0.07kg 높았다.체질량 지수도 마찬가지였다. 출생 후 3개월에는 보조 생식술 아이들이 0.18이 낮았지만 17세가 되었을 때는 0.09 앞질렀다.체질량 지수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서방에서는 18.5~24.9가 정상, 25~29.9는 과체중, 30~34.9는 비만, 35~39.9는 고도비만, 40 이상은 초고도 비만으로 분류된다.이 결과에 대해 영국 인간생식 배아 관리국(HFEA: 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uthority)의 피터 톰프슨 국장은 자녀를
2022-08-01 09:58:07
보조생식술로 세계 쌍둥이 인구 급증…아시아 32% 증가
체외수정(IVF)을 비롯한 보조생식술(ART) 이용 사례가 증가하면서 쌍둥이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로이터 통신이 15일 보도했다.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크리스티안 몬덴 사회인구학 교수팀의 연구 결과, 매년 약 160만 쌍의 쌍둥이가 태어나고 있으며 이는 30년 전보다 30% 급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지역별 쌍둥이 출산율 증가는 아시아가 32%를 나타냈으며, 북미가 가장 높은 71%의 증가율을 보였다.쌍둥이 유형별 조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쌍둥이 인구는 급증한 반면, 같은 수정란에서 태어난 일란성 쌍둥이의 출산율은 30년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이는 증가한 쌍둥이 인구의 대부분이 서로 다른 수정란에서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체외수정 전문의들은 임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수정란을 자궁에 투입하므로 쌍둥이 이상의 다태 임신이 자주 발생한다.쌍둥이 인구 증가는 늦어지는 출산 연령, 피임약 사용 증가, 생식기능 저하 등의 영향도 있지만, 주된 원인은 1970년대부터 시작된 보조생식술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이 내용은 유럽 인간생식·태생학학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학술지 '인간생식'(Human Reproduc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1-03-16 11:04:55
정부, 난임 치료 시술 추가 개선 방안 발표
보건복지부가 보조생식술, 모자보건 및 생명윤리 전문가 자문·검토 등을 거쳐 추가 대책을 마련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0월 1일 난임치료 시술(보조생식술)의 건강보험 적용 후 제기된 요구에 대한 내용이다. 가장 큰 사항은 건강보험 적용 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서 횟수를 소진해 건강보험 적용이 제한된 난임부부에 대해 보장횟수를 1~2회 추가하는 것이다. 만45세 미만 여성이 대상이며 추가 적용횟수를 포함해 시술별 2~3회 건강보험이 적용되도록 했다.또한 난자채취 과정에서 공난포(난자가 전혀 나오지 않아 이후 배아생성이나 이식 과정 진행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가 나온 경우에는 횟수를 차감하지 않도록 개선했다. 하지만 난자채취 과정에 대한 비용은 본인부담률 80&를 적용했다. 급여범위를 초과해 비급여로 이뤄지는 시술 비용은 비급여 진료비 조사·공개 항목으로 포함시켜 내년 상반기 중에 결과를 공개하도록 했다. 앞으로는 기관별 비급여 비용을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가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난임부부의 안전하고 건강한 출산환경 조성을 위해 연령·횟수 기준은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예로 들며 "향후에도 난임부부 및 전문가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보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17-12-13 16: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