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프' vs '아내', 어떤 단어 선호하세요? 연령별로 달랐다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사용하는 한국어 어휘가 다르다는 국립국어원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국립국어원은 전국 15~69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일상 언어 표현에 관한 55개 문항을 설문한 '국어 사용 실태 조사(어휘)' 결과를 15일 공개했다.그 결과 남을 부르는 어휘에서 연령에 다른 차이가 나타났다.대표적인 예는 '아가씨'다. 젊은 여성 판매 직원을 부를 때 60~69세 응답자의 절반 이상(56.2%)은 '아가씨'라는 호칭을 사용한다고 답했고, 50~59세도 45.2%가 '아가씨'라는 단어를 선호했다.반면 20~29세 응답자의 52.0%는 '여기요(저기요)', 18.4%는 '사장님'이라는 호칭을 쓴다고 밝혔다.국립국어원은 이에 대해 "성별과 연령에 구애받지 않는 중립적 표현을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젊은 세대의 일상 대화 호칭에 반영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대화 중 결혼한 상대를 가리키는 말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결혼한 남성은 자기 여성 배우자를 친구에게 소개할 때 '와이프'(wife)라는 외래어를 가장 많이 사용했지만, 결혼한 여성은 남성 배우자를 소개할 때 '남편'이라는 호칭을 가장 선호했다.나이 차이가 크지 않은 윗사람의 말에 긍정적으로 대답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는 '네'(55.8%)였으며, 이어 '예'(19.9%), '넵'(14.3%) 순이었다.지역에 따라 즐겨 사용하는 어휘도 달랐다.그제와 어제, 오늘로 이어진 휴일을 말할 때 강원권과 제주에서는 '삼 일'이라는 표현이 선호됐지만, 전라권에서는 '사흘' 사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또 양쪽 다리를 오그려 포개어 앉는 '양반다리'의 새로운 방언인 '아빠 다리'는 젊은
2025-01-15 14:04:06
"'남색'은 7~8세에 사용" 나이 별 '기초 단어' 나왔다
한국어로 일상생활을 할 때 사용하는 단어를 나이·학령 수준 별로 정리한 목록이 발표됐다.국립국어원은 31일 이러한 '국어 기초 어휘 목록'을 발표했다. '국어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연구' 사업을 통해 우리 국민이 습득해 사용하는 한국어가 정리돼 있다.기초 어휘는 한국어로 일상 언어생활을 할 때 꼭 사용하는 어휘를 의미한다.국립국어원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약 2억개 어절 규모의 구어·문어 말뭉치를 분석해 어휘 사용 양상을 파악한 뒤, 총 4만개 어휘 목록을 만들었다.국어 기초 어휘는 연령과 학령 수준 별로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마련됐다.1등급은 학령 전인 4~6세 아동이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어다. '가깝다', '말하다', '바퀴', '스마트폰' 등 5천개의 어휘로 구성돼있다.2등급은 7~8세, 학령 기준으로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단어 2천500개가 포함됐다.예를 들어 무지개의 7가지 색깔 중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보라 등 6가지 색상은 가장 기초적으로 사용하는 1등급에 속하지만, 남색은 7~8세(초등학교 1~2학년) 정도에 익히고 쓸 수 있는 2등급 어휘로 분류됐다.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이번 분류가 추후 문해 능력, 독서 능력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기초 어휘에는 새로운 어휘 103개도 포함됐다. 국립국어원은 이 중 '계란프라이', '비대면', '마감일', '은둔형' 등 102개를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로 새로 공개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5-31 11: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