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전후 비만 주의해야…임신성 당뇨병 위험↑
임신 전후로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을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지난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산전 관리를 받으며 단태아를 낳은 산모 3078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이 임신부와 태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연구팀은 환자군을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 유무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눴다. 그룹1은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이 모두 없는 경우, 그룹2는 비만 없이 임신성 당뇨병만 있는 경우, 그룹3는 임신성 당뇨병 없이 비만인 경우, 그룹4는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 모두 있는 경우로 구분했다. 비만 기준은 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아시아 여성 비만 기준’에 따라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25kg/㎡ 이상인 임신부로 정했다. 해당 그룹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임신부들은 산전 관리 과정으로 임신성 당뇨병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다이어트와 운동에 대한 세부 교육을 진행하고, 주기적으로 당 수치 검사를 시행하여 필요 시 인슐린 치료를 받았다. 연구 결과 그룹3(임신성 당뇨병 없이 비만인 임신부)가 그룹2(비만 없이 임신성 당뇨병만 진단된 임신부)보다 전반적으로 부작용 발생 수치가 더 높았다. 특히 제왕절개, 신생아 저혈당증,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상승했다. 그룹2가 임신성 당뇨도 비만도 없었던 그룹1과 비교하여 부작용 발생 수치가 전반적으로 비슷했다. 이를 통해 당뇨 수치를 잘 관리한 산모는 비만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일반 산모만큼 안전한 출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오수영 교수는 “미국 산부인과학회 및 영국의 지침에 따르면 모든 임신부는 임
2023-10-26 12:06:53
임신성 당뇨에 '이 병' 더해지면 당뇨병 위험 6배
임신성 당뇨병을 앓았던 여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제2형 당뇨병 발생위험이 6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에 의해 유발되는 당뇨병으로 출산 후 대부분 정상혈당으로 돌아오는데, 지방간이 있다면 향후 실제 당뇨병으로 진행할 확률이 커지는 것이다. 성균관대 의대 강북삼성병원 서울건진센터 조유선 교수,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 장유수 교수 연구팀은 2015~2019년 건강검진 데이터를 토대로 1회 이상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14만여 명을 3.9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과거 임신성 당뇨병을 앓았는지, 현재 지방간이 있는지에 따라 대상자를 4그룹으로 나누고 임신성 당뇨병과 지방간이 모두 없는 그룹을 기준으로 각각의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임신성 당뇨병 그룹은 2.61배 ▲지방간 그룹은 2.26배 ▲임신성 당뇨병을 앓았으면서 지방간이 있는 그룹은 무려 6.45배나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조유선 교수는 "임신성 당뇨병 경험이 있으면서 현재 지방간을 앓으면 인슐린 저항성과 지질대사의 이상 등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당뇨병 발병 위험을 키울 수 있다"며 "임신성 당뇨 병력이 있는 여성 중 향후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을 선별할 때 현재 지방간을 앓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조 교수는 "임신성 당뇨를 앓았다면 향후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신체활동을 늘리며, 과다한 당분 섭취를 제한하는 등 지방간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3-09-21 11:59:01
혹시 나도 당뇨? 이런 증상 나타난다면...
최근 코미디언 서세원의 안타까운 사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그가 생전에 당뇨를 심하게 앓았다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당뇨병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당뇨의 3대 증상으로는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를 꼽는다. 당뇨병에 걸리면 소변량이 드는데, 이때 몸 속 수분이 부족해져 심한 갈증을 느낀다. 또한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잘 먹어도 체중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눈이 침침하거나 손발저림, 여성의 경우 질 소양증도 당뇨 증상 중 하나다. 게다가 혈당이 많이 높지 않다면 특별한 증상을 못 느끼는 경우도 있다. '당뇨병의 진단 기준 및 분류에 관한 전문위원회'에 따르면 식사 시간과 관계 없이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 공복 상태에서 측정한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 (8시간 금식),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75mg의 포도당을 섭취한 뒤 측정한 2시간째 혈당이 200mg/dL 이상인 3가지 기준 중 한 조건만 만족하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 6.5% 이상일 경우도 포함된다. 당뇨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식사 요법,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등이 필요하다. 가벼운 당뇨는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으로 치료할 수 있다. 이것으로 혈당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약물 요법을 추가한다. 일상에서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단이 필요하다. 식사를 제때 골고루 하고,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해야 한다. 평소 활동량을 늘리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도 중요하다. 과도한 음주와 흡연을 삼가고스트레스를 줄이며 즐겁게 생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기 검진을 통해 예방하는 것도 필
2023-04-24 15: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