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문에...일하는 여성 77%, 일·가정 부담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인 여성들의 일과 가정에서의 부담이 모두 늘어났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10일 코로나19 이후 여성들의 커리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딜로이트 글로벌의 '위민 앳 워크: 글로벌 전망'보고서를 발표했다.보고서는 작년 11월~올해 3월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세계 10개국, 18~64세 여성 5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했으며 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 조사 결과 응답한 여성 77%는 일터와 가정 모두에서 책임감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이 중 59%의 응답자는 팬데믹 기간 가사노동에 대한 부담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35%, 24%의 응답자는 각각 육아와 부양가족을 돌보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고 말했다.업무 만족도는 펜데믹 이전 대비 29%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으며, 57%가 일과 개인 삶의 불균형으로 인해 2년 이내 직장을 떠날 것이라고 답했다.직장 내 성평등 수준 역시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에 응한 여성의 절반 이상이 지난 1년 동안 직장에서 뜻하지 않은 신체 접촉과 성차별적인 행동을 경험했다고 대답했다.이 중 4분의 1에 해당하는 여성이 '경력 보복’에 대한 두려움으로 성차별적인 행동을 회사에 보고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보고서는 포용적이지 않은 직장 문화가 업무 생산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봤다. 비포용적인 직장 문화에서 일하는 여성 중 29%만이 업무 생산성에 대해 '좋음' 혹은 '아주 좋음'으로 응답한 반면, 선진적인 기업 문화에서 일하는 여성의 70% 가 생산성 부문에 '좋음' 혹은 '아주 좋음'으로 답했다.이
2021-06-10 15:10:02
첫째 자녀 임신한 직장여성 66%는 '경력단절' 경험
직장여성의 상당수가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경력단절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일·가정양립 실태와 정책 함의’보고서에 따르면 첫째 자녀를 임신한 여성(5905명)의 66%는 둘째 자녀를 임신하기 전에 하던 일을 그만뒀거나 다른 일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 대상은 15~49세 기혼여성 중 자녀 임신 직전에 취업해 있었던 여성들이다.경력단절 발생 시기를 보면 첫째 자녀 임신 후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81.3%가 출산 전에 일을 그만둔 것으로 파악됐다. 첫째 자녀 임신 후에도 하던 일을 계속한 직장여성은 34.2%에 불과했다. 직종별로 보면 취업 당시 직종이 관리직·전문직인 경우, 종사상 지위별로 비임금근로자인 경우, 직장 유형이 정부 기관·공공기관인 경우 다른 집단보다 하던 일을 계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출산 전후 휴가 사용 비율은 2001년 이전에 첫째 자녀를 출산한 경우 25.1%에 그쳤으나, 2011년 이후 출산한 경우에는 50%로 증가했다. 또 경력단절을 겪지 않은 여성의 88.2%가 출산 전후 휴가를 사용했지만,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17.0%만이 출산 전후 휴가를 썼다.육아휴직도 출산 전후 휴가와 비슷한 사용실태를 보였다. 첫째 자녀 임신 전 취업 여성(비임금근로자 제외)의 21.4%만이 육아휴직을 사용한 것으로 나왔다.2001년 이전에 첫째 자녀를 출산한 경우 5.3%만이 육아휴직을 썼지만, 2011년 이후 출산한 경우에는 36.7%가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육아휴직 사용 비율은 경력단절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 48.5%였으나, 경력단절을 겪은 경우에는 8.5%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19-02-08 10:14:36